국보1호 숭례문에도 '수문장 교대의식' 있다?
발행일 2020.08.06. 16:16
정확한 연도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30여 년 전 서울역에 내려 광화문 쪽으로 걷다가 바라본 국보1호 숭례문은 신작로 한 가운데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굳게 닫힌 철문 안에 섬처럼 우뚝 서 있었다. 그 모습이 본래 모습인줄 알았는데 일제에 의해 성곽이 훼손된 모습이었단다. 현재는 성곽이 복원된 숭례문의 모습을 볼 수 있어 다행이다.
오래 전 숭례문은 도로 한가운데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섬처럼 있었다. ⓒ최병용
성곽을 복원해 누구나 숭례문을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개방했지만 지난 2008년 안타깝게 무지한 국민에 의해 화마에 할퀴고 찢기는 통한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목재로 된 문루는 화재로 인해 상층부 대부분이 불타 없어졌으나 하층부는 다행히 크게 훼손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해 기존의 부재 약 34%와 국민이 기증한 목재와 새로 구입한 목재를 이용해 복원, 숭례문의 위용을 다시 찾게 됐다.
복원된 국보 1호 숭례문의 위용 ⓒ최병용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성문 이름은 유교의 덕목인 인, 의, 예, 지를 따서 지었다. 숭례문은 이 가운데 예를 취하여 '예의를 숭상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숭례문은 서울 사대문의 남쪽 정문이란 뜻의 남대문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숭례문이 본래의 이름이다.
국보1호 숭례문의 후면 모습 ⓒ최병용
숭례문 현판의 글자를 쓴 인물은 태종의 장남인 양녕대군으로 알려졌는데 숭례문 화재로 현판이 일부 손상되어 양녕대군의 위패를 모신 지덕사에 보관되어 있던 현판 탁본과 근대 시기에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복원한 현판이 걸려 있다.
양녕대군이 쓴 것으로 알려진 숭례문 현판 ⓒ최병용
숭례문은 조선 태조 7년(1398)에 한양도성의 남쪽 대문으로 세워졌다. 그 후 세종 30년(1448), 성종 10년(1479), 고종 연간에 큰 수리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매일 밤 인정(10시 무렵)에 문을 닫았다가 다음 날 아침 파루(4시 무렵)에 문을 열었는데 이때 문루에 종을 달아 그 시간을 알렸다고 한다.
1900년대 초 숭례문 ⓒ최병용
숭례문에 가면 숭례문의 역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시대별로 찍은 숭례문의 사진과 함께 설명이 들어간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아이들이 숭례문을 바라보며 역사를 배울 수 있어 좋다.
숭례문 방화 사건으로 감시초소 2개소와 CCTV를 통해 철저히 감시하고 있다. ⓒ최병용
숭례문을 관람하다가 예전에 보지 못했던 진기한 풍경을 보게 됐다. 조선시대에 중요한 의식이었던 파수의식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파수란, 도성의 성곽을 수비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중요한 군례의식 중 하나로 파수의식은 인정과 파루에 도성문을 열고 닫는 도성문 개폐 의식과 순리 의식 등을 연결하는 조선시대 군례의식이다.
숭례문 파수의식이 열리고 있는 모습 ⓒ최병용
파수의식, 수문군 교대 및 순라의식은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10:00~12:00과 13:00-15:40에 열린다. 행사 시간 및 순라의식, 부대행사 등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니 사전에 문의를 하고 가는 게 좋다.
파수의식을 마친 수문군이 숭례문 경계를 하고 있다. ⓒ최병용
궁궐이나 큰 기와집 건물의 추녀 마루에는 잡상이라고 불리는 동물 모양의 장식 기와가 놓여 화재와 액운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숭례문 기와 추녀에는 용머리가 있고 추녀 마루에는 해태상, 호랑이, 불상(삼살보살)과 뿔달린 포유동물 천산갑, 입 둘 달린 용인 이구룡 등 8종류의 잡상이 올라 앉아 있다.
숭례문 추녀 마루의 잡상(어처구니) ⓒ최병용
숭례문은 수도인 한양을 보호하고, 조선 왕실의 권위를 높이며, 나라를 발전시키겠다는 이성계의 의지와, 누구든지 이 문을 들어올 때는 예의를 갖추라는 의미가 담겨 세워졌다. 숭례문에는 남쪽 지역으로부터 외적의 침략을 막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도 담겨 있던 문이다. 숭례문이 더 이상의 소실 없이 후세에게 물려질 수 있도록 국민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
숭례문 천장의 용문양 ⓒ최병용
■ 숭례문 안내
○ 위치 :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4가 29
○ 교통 : 1호선 서울역 4번 출구/ 4호선 회현역 5번 출구 도보 5분
○ 휴무일 : 월요일
○ 관람시간 : 09:00~18:00
- 동절기 : 09:00~17:30(11월~1월)
- 하절기 : 09:00~18:30(6월~8월)
○ 입장료 : 무료
○ 문의 : 02-2133-1117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