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박물관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9.16. 00:00
시민기자 진보라 | ||
가을이 되면서부터 엄마의 고춧가루 타령이 시작되었다. 태양초를 사야하는데 없다는 둥, 아파트에도 고추를
말리는 집도 있다는 둥... 서울에는 숨어있는 박물관이 많이 있다. 김치 박물관도 그런 경우이다. 삼성동 코엑스몰을 여러 번
갔었지만 김치 박물관이 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었다. 입장료를 내면서 돌아다니며 구경하는 것도 돈이 꽤 많이 드는구나 생각을 했다. 그러나 갑갑한 영화관에서 두어 시간 있는 것보다 훨씬 좋은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입장료: 성인 3000원 유치원~고등학생 1000원) 코엑스 몰에 김치 박물관이 어울릴까 하는 생각이 스쳤다.
김치의 역사관에는 김치의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김치 변천사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크게 흥미가 있지는 않았다. 박물관에는 늘 이렇게 설명적인 어조와 무엇인가를 알려주려고 애쓰는 모습만 있나 하는 생각이 다음 관에서 확 바뀌었다. 그 곳에는 여러 종류의 김치 모형이 전시되어 있었다. 김치 만들기와 저장관에서는 모형으로 김치 담구는 과정을 재연해 놓았다. 옛날 아낙들이 김치 담구는
모습과 주변을 서성이며 맛을 보고 싶어 하는 남자들.. 김치가 얼마나 영양학적으로 훌륭한 음식인지 설명하는 코너도 있었다.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서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하지만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 김치를 개발시키거나 상품 가치를 높이는 데는 무관심 했던 것 같다. 김치 박물관은 김치가 당연히 우리나라가 음식이고 ‘김치=대한민국’ 이라는 개념을 외국 사람들에게
알리려는 노력이라고 생각된다.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