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주택 재개발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3.12.20. 00:00
서울시내 불량·노후주택 밀집지역 294곳이 재개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대상지로 선정되어 오는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된다.
이번 계획안은 지난 98년 수립된 주택재개발 기본계획을 5년만에 재정비한 것으로, 각 자치구에서 신청한 383개 구역 가운데 총 294곳이 재개발 구역으로 선정된 것이다. 기존에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아직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198곳과 함께 96곳을 새롭게 지정한 것. 앞으로 여기에 포함된 지역만이 재개발을 할 수 있다. 지난 98년 354개 구역에 1055ha였던 것이 294곳 1153ha로 구역은 줄고 면적은 오히려 늘었는데, 이는 개발이 진행된 곳이나 주민 반대가 심해 부적합한 곳을 제외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과거 신규개발 위주였던 주거지 정비는 기성시가지 재정비와 주거환경정비로 변환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화롭고
환경친화적인 개발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
또한 소규모의 난개발을 막기 위해 2~3개 지역을 묶어 ‘근린생활권’으로 개발한다. 구역별로 용적률은 다르게 적용되는데, 구릉이나 급경사지형, 도시경관과 자연환경을 보호해야 하는 지역은 170%, 평지형으로
중저층 주거환경이 적합하고, 간선도로와 역세권에 인접한 곳은 190%, 간선도로변, 역세권으로 토지의 효율적 활용이 필요한 곳은
210%의 용적율을 적용받는다.
이때 통학권에서 벗어난 권역에 새롭게 학교를 설치하고,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ECD 수준인 1개교 당 36학급, 1학급 당 30명을 목표로 할 계획. 또한 학교 시설을 개방해 공원·녹지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 단독주택지와 학교 근처에는 공원 및 녹지를 조성하고, 문화 · 복지시설도 대폭 확충한다. 세입자 보호를 위해서는 건립가구수의 17%, 거주 세입자 총가구수의 35% 이상의 임대주택을 건립토록 했다. 전면개발에 의한 주거환경 정비 외에 다양한 사업방식을 전개해 나갈 계획으로, 기반시설이 양후하나 노후불량주택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구역, 한옥밀집지역 등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구역은 ‘수복개발’하고, 주거환경이 열악한 구역은 ‘전면개발’한다.
|
하이서울뉴스 / 한해아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