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사람이 아름답다

admin

발행일 2007.07.03. 00:00

수정일 2007.07.03. 00:00

조회 1,317


10월까지 서울시의 57개 공공도서관 참여

어른아이 할 것 없이 책 속에서 상상력과 지혜를 얻는다고 했다. 한여름 더위를 피해 산들 바람 부는 대청마루에 앉아 독서삼매경에 빠지다 보면, 어쩌면 여름이 독서에 가장 잘 어울리는 계절이 아닐까 싶다.

서울문화재단이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을 오는 10월까지 개최한다. ‘한 도서관 한 책 읽기’는 미국의 'ONE BOOK ONE CITY' 를 벤치마킹한 사업. 1998년 미국 시애틀에서 시작된 이 캠페인은 도시차원에서 일정기간 지역민 모두가 한 권의 책을 선정해 읽고 토론하는 문화운동으로, 책을 매개로 다민족 사회의 통합을 유도하는 문화축제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는 서산, 순천, 부산 등에서 이 운동이 진행 중이다.

서울은 규모와 도시의 특성상 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민들 간의 만남과 토론의 장을 유도한다는 계획. 이를 위해 지난 5월 28일 도서관 사서들이 한자리에 모여 ‘도서관-책으로 만나는 지역 커뮤니티’를 주제로 커뮤니티 센터로 거듭나기 위한 도서관의 역할 및 교육자, 문화기획자로서의 역할을 고민하고 사례연구를 하는 워크숍을 진행했으며, 7월부터 10월까지 서울시의 57개 공공도서관이 참여해 각 도서관별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주요 선정도서로는 가족애를 강조한 <엄마의 마흔번째 생일>(강남,개포,강동 등 7개 도서관), 차이와 다름을 주제로 한 <민들레는 장미를 부러워하지 않는다>(관악,봉천 등 3개 도서관), 장애 가족이야기 <아주 특별한 우리 형>(성동 등 3개 도서관)등이 있다.

또 외국인노동자가 많이 거주하는 구로지역에서는 혼혈친구 이야기 <외로운 지미>를, 성동장애복지관이 있는 성동구는 <아주 특별한 우리 형>을 지정하는 등 선정도서는 지역적인 특성이 반영되었다.

함께 읽으니 책 속에 길이 보여요~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펼쳐진다. 작가와의 만남 등과 같은 <독서 강좌 및 특강>, 지정도서를 친구나 이웃에게 독서 권장하는 <책 릴레이 돌려읽기>, 책의 이야기를 연극이나 인형극 등의 공연을 관람하거나 직접 만들어보는 <연극이나 인형극 공연 및 연극교실> 등이다.

강북문화정보센터에서는 <맘대로 아빠, 맘대로 아들>의 책 내용과 연관되어 ‘맘대로 세상 꾸미기’를 주제로 내가 바라는 세상에 대한 동영상 UCC, 그림, 글 등을 공모해 전시할 예정이며, 가산정보도서관(금천구 소재)은 <책 먹는 여우> 내용을 가족과 함께 판화로 제작하고, 영어로 낭독하는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지정도서를 보다 친근하고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는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또한, 도서관과 책을 중심으로 가족 간의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한 취지에서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한 가족들 중 도서관의 추천을 통해 <책으로 만난 행복한 가족>을 선발한다.

책을 통해 가족애를 확인하고 책이 가족간 소통의 매개가 된 대표 사례를 발굴하고자 기획된 이 사업은 총 7개 가족을 선정해 책 100여권을 선물하고, 선정된 가족의 이름으로 문화소외 지역이나 도서관에 기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어서 아름다운 문화나눔을 몸소 실천하는 계기도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부대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일정은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http://sfac.or.kr/ → 문화가꿈&문화나눔 → 책읽는 서울 → 도서관 지도 클릭)에서 개별 도서관별 정보를 찾아보면 된다.

문의 : 서울문화재단 홍보팀 ☎ 3290-7063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http://sfac.or.kr/ → 문화가꿈&문화나눔 → 책읽는 서울 클릭)

2007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참여 도서관 및 선정도서

하이서울뉴스/이현정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