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살아있는 역사를 느끼다 '동대문역사관'
발행일 2020.08.26. 14:30
※ 이 기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 전에 작성되었습니다. 8월 16일부터 동대문역사관은 휴관으로 전환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편집자주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내에 위치한 동대문역사관 ©송수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위치한 ‘동대문역사관’이 2년간의 상설 전시 개편을 마치고 지난 8월 11일에 재개관했다. 평소에 역사에 관심이 많았던 터라 재개관 당일에 맞춰 동대문역사관을 찾았다.
동대문역사관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을 걸쳐서 온다면 찾기 조금 어려울 수 있다. 동대문역사관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문 쪽에 위치해있다.
동대문역사관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건설 과정에서 발굴, 조사된 매장 유물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공간이다. 지난 2009년에 개관했다가 11년 만에 상설 전시실을 전면 개편하여 재개관하였다. 발굴 유물과 관련 영상, 바닥에 새겨진 발굴 도면, 그리고 AR 체험도 가능하다.
전시 구성은<Ⅰ. 훈련원과 하도감>, <Ⅱ. 도성의 수문>, <Ⅲ.이십세기의 변화>, <Ⅳ. 땅속에서찾은 역사> 등 4가지 주제로 나뉜다.
첫 번째 전시 구성 훈련원과 하도감 ©송수아
첫 번째 파트에서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위치에 자리했던 조선의 군인양성소 훈련원과 훈련도감의 분영이었던 하도감에 대해 소개한다.
조선시대 경국대전과 조선시대 군사 무기 ©송수아
교과서나 책에서만 보던 조선시대의 다양한 병서들이 실제로 볼 수 있게 전시되어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조총, 활과 같은 무기류도 전시되어 있어 보다 더 쉽게 조선시대 군사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바닥에 있는 QR코드로 증강현실 관람이 가능하다 ©송수아
바닥에 있는 QR코드를 전시실에 비치된 태블릿에 인식시키면, 해당 위치의 과거 모습이 증강현실로 구현된다. 총 5개의 지점에서 훈련원의 무과시험, 하도감의 철기 생산, 한양도성의 성벽과 수문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포인트가 될 것 같다.
두 번째 전시 구성, 도성의 수문 ©송수아
두 번째 파트에서는 서울 도성 안 하천의 흐름을 관리하던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의 구조와 역할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이간수문의 실물과 모형도 있다. 영상도 함께 볼 수 있어서 생동감 있게 수문을 보고 느낄 수 있었다.
동대문역사관 3관인 이십세기의 변화 ©송수아
여기서는 개항 이후 군사제도가 개편되면서 맞이하게 된 ‘훈련원과 하도감’ 두 군사시설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훈련원공원 터에서 발굴된 기와보도 ©송수아
<이십세기의 변화> 파트에서는 훈련원공원 터에서 발굴된 기와보도 유구를 볼 수 있다. 바닥을 투명하게 만들어서 그 위를 직접 걸어볼 수 있었다. 기와보도 위를 직접 걷는 듯 생생하다.
땅속에서 찾은 역사 ©송수아
마지막으로 네 번째 파트에서는 2008년 동대문운동장 철거 후 이루어진 발굴 조사 성과를 볼 수 있다.
많은 것들이 있었지만 그중에서 특히 접시나 그릇과 같은 것들이 많이 보였다. 이는 하도감 터에서 다양한 철기 조업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고 한다.
동대문운동장 발굴 과정 체험 공간 ©송수아
이번 전시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전시 및 체험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바로 동대문운동장의 발굴 과정을 체험해보고, 그 속에서 확인된 유적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 체험 시설이다.
전시실 내에 있는 AR 체험존 ©송수아
전시실 내에 있는 AR 체험도 흥미롭다. AR 체험존에서는 조선시대 무인이 되어 직접 무술을 따라 해보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에서 신청 가능한 동대문역사관 ©송수아
현재 동대문역사관 전시 관람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별도 공지 시까지 사전예약 관람 신청이 일시 중지된 상태이다. 추후 관람예약은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https://yeyak.seoul.go.kr/main.web)에서 가능하다.
■ 동대문역사관
○ 위치 : 서울특별시중구 을지로 281(을지로7가 2-1)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내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구정, 추석 명절 당일
○ 입장료 : 무료
○ 홈페이지 : https://museum.seoul.go.kr/scwm/NR_index.do
○ 문의 : 02-2153-020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