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기억하면, 우리집 계량기 동파 걱정 끝~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6.11.28. 16:06
아침에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반짝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추운 겨울이 되면 신경 써야 할 것들이 많아지는데요, 오늘 내 손안에 서울에서는 서울시 겨울안전대책 가운데 '터지면 답 없는' 수도계량기 동파 방지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올 겨울 계량기가 꽁꽁 얼기 전에 이것만은 꼭꼭 기억하세요~ ※ 파란색 글자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서울시는 지난해 수도계량기 동파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44만여 세대에 대한 주택 유형별 맞춤형 보온 조치를 강화하고, 동파 발생 시 신속한 복구를 위해 내년 3월 15일까지 ‘겨울철 급수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 관련기사 ☞ 이른 추위...`희망온돌`로 따뜻하게 겨울나기
시는 지난해 연립주택의 벽체형 계량기함 보온 미비, 맨홀형 계량기함 뚜껑 파손 등의 문제로 동파가 발생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층 강화된 동파 대책을 통해 수도계량기 동파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동파 취약 세대별 맞춤형 예방대책 추진
우선 서울시는 외부의 찬 공기가 들어가기 쉬운 복도형 아파트뿐만 아니라 노후 연립주택에 성능이 개선된 벽체형 계량기함 보온재를 3만 1,996세대에 확대 설치하고, 36만 6,000세대에 계량기함 보온덮개를 배부했다.
이번에 보급한 벽체형 계량기함 보온재는 계량기 몸통을 보온이 뛰어난 재질로 한 번 감싸고, 검침 시에도 외부 찬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계량기함 내부를 완전 밀폐하는 등 이중 보온이 가능하며, 계량기함 보온덮개는 외부를 이중 비닐로 밀폐해 외부 찬 공기를 차단한다.
또한 지난해 맨홀형 계량기 뚜껑이 파손돼 동파가 자주 발생한 점을 감안, 이번에 처음으로 다세대 및 단독 주택, 휴일·주말 및 야간에 휴무하는 소형 상가 등의 계량기함 뚜껑 6,618개를 교체하고, 동파에 취약한 3만 3,200세대에는 일체형 보온재로 정비를 완료했다.

맨홀형 계량기함 보온재 정비 전(좌), 맨홀형 계량기함 보온재 정비 후(우)

벽체형 계량기함 보온재 설치 중(좌),벽체형 계량기함 보온재 설치 후(우)
아울러 한파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동파안전계량기’를 동파 취약 세대에 설치하고, 1만개를 비축해 동파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할 방침이다.
최저기온별 ‘동파 예보제’ 및 ‘단계별 시민행동 요령’ 전파
동파 예방과 함께 시는 일 최저기온에 따라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의 동파 예보제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단계별 시민행동 요령’을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와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 동파발생 위험도별 4단계 동파 예보제
|
시민생활안전 급수대책 상황실 24시간 운영, 다산콜센터 또는 수도사업소로 신고
시는 겨울철에 수도계량기 동파가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간 겨울철 시민생활안전 급수대책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한다.
현재 8개 수도사업소별로 신속 복구·교체를 위해 동파안전계량기와 굴삭기, 해빙기, 발전기 등 주요 장비는 물론 비상복구인력을 확보하는 등 긴급 복구 체계를 갖췄다.
이와 함께 계량기 동파·수도관 동결 다량 발생·대형 상수도관 누수 발생에 대비하는 가상복구 훈련을 실시하고, 상수도 주요시설물을 점검하는 등 비상사태 발생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가정에서 직접 취할 수 있는 동파 예방법 ① 수도계량기를 보온할 경우에는 계량기함을 사전에 점검하여 내부 습기로 인해 보온재가 젖어 있거나 보온재가 파손된 경우, 젖지 않는 새로운 보온재(에어캡, 비닐 등)를 사용해야 한다. 젖은 보온재는 얼어붙을 위험이 있어 동파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수도계량기 보온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수도꼭지를 조금 틀어 수돗물을 흘려보내는 일이다. 특히 한파가 이틀 이상 지속되거나 야간이나 외출 시에는 욕조의 수도꼭지를 조금 틀어놓는다. ③ 수도계량기가 얼었을 경우엔 화기(토치, 헤어드라이기 등)를 사용하면 화재가 발생하거나 계량기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따뜻한 물수건을(50~60℃) 사용해 계량기나 수도관 주위를 골고루 녹여준다. |
수돗물이 갑자기 나오지 않을 때에는 수도계량기 유리가 깨지거나 부풀어 올랐는지 확인하여 동파가 의심될 때는 서울시 다산콜센터(120번) 또는 관할 수도사업소로 신고하면 된다.
한국영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겨울철 수돗물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동파 예방에 힘쓰고 있으나 동파 제로(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량기함 보온을 위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며, “계량기함 보온재 정비, 동파안전계량기 교체, 철저한 동파 예보제 실시, 급수대책 상황실 운영 등으로 동파 예방 및 신속한 복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시 `계량기 동파 제로화 정책지도`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