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 지도자탑이 들려주는 그때 그 이야기 속으로~

시민기자 최용수

발행일 2023.07.20. 09:00

수정일 2023.07.20. 16:34

조회 889

새마을운동 당시 마을길 넓히기에 참여한 시민들의 모습 ©새마을운동중앙회 아카이브
새마을운동 당시 마을길 넓히기에 참여한 시민들의 모습 ©새마을운동중앙회 아카이브

“동민 여러분 안녕하세요. 새마을 지도자입니다. 며칠간 계속된 장맛비로 읍내로 가는 신작로가 끊어져 보수가 시급합니다. 집집마다 한 사람 씩 삽이나 곡괭이, 소쿠리를 들고 느티나무 아래로 8시까지 나와주세요.” 어린 시절 장마철이면 듣곤 하던 시골 고향마을 확성기 방송내용이다.

1960~70년대, 농촌지역은 간선도로를 제외하면 대부분 비포장도로였다. 매년 장마철이 되면 넘치는 빗물로 망가진 비포장도로의 보수는 온전히 그 지역 주민들 몫이었다. 끊어진 도로를 연결하고 울퉁불퉁 페인 도로의 평탄작업, 배수로정비 등 마을 사람들이 일손을 모아 하루 노동하면 망가진 도로는 어느새 제 모습을 찾았다. 이런 무보수 일손을 모으는데 앞장섰던 사람이 바로 ‘새마을지도자’들이다.
우장산 정상에 있는 새마을지도자탑 전경 ©최용수
우장산 정상에 있는 새마을지도자탑 전경 ©최용수

‘새마을’이란 단어는 요즘 생경하게 들리는 말이다. 해방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모든 것이 폐허로 변하여 먹고 살기 힘들었던 전후 1960년대, 마침내 경제계획을 세우고 노력하자 조금씩 도시의 삶은 향상되어 갔으나 농촌은 낙후 그 자체여서 도농(都農)간 경제적 수준 차이가 벌어지게 되었다. 이에 1970년 4월 22일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제창하게 된다.
새마을지도자탑 하단에는 황금찬 님의 '새마을을 기리는 탑'이란 글이 새겨 있다. ©최용수
새마을지도자탑 하단에는 황금찬 님의 '새마을을 기리는 탑'이란 글이 새겨 있다. ©최용수

근면, 자조, 협동의 3대 정신을 바탕으로 기존의 생활 태도와 주거환경 개선에서부터 소득 증대 목표까지 전국적으로 전개한 범국민운동이었다. 마을마다 도로 확장과 하천 정비, 초가지붕 개량, 전기 및 전화시설 확충, 농경지 확장 등 농촌의 생활기반 전반이 크게 개선됐다.

이렇게 농촌 지역에서 시작한 새마을운동은 점차 도시로까지 확산되어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자’는 결의로 뭉친 전국 단위 국민운동으로 발전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중앙회 아카이브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중앙회 아카이브

낙후된 농촌 환경을 개선하고 경제발전을 통해 ‘보릿고개’를 극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새마을운동이다. 이에 대한 평가는 국내보다 오히려 해외로부터 성공사례로 평가받아 오늘날 아프리카 등 후진국의 농촌개발에서 벤치마케팅 되고 있다니 자랑스럽다.

새마을운동의 성공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하나는 앞장서서 헌신한 ‘새마을 지도자’의 역할이다. 이에 새마을운동 정신을 계승하고 새마을지도자의 숭고한 봉사정신을 기리기 위해 1986년 8월 우장산 정상에 '새마을 지도자탑'을 세웠다.
강서구 우장산근린공원 북쪽 봉우리에 있는 '새마을지도자탑' 모습 ©최용수
강서구 우장산근린공원 북쪽 봉우리에 있는 '새마을지도자탑' 모습 ©최용수

1986년 8월에 건립된 '새마을 지도자탑'우장산 북쪽 봉우리 400평의 부지에 직경 40m의 원형 기초를 만들고 그 안쪽에 8각형 바닥을 만들었다. 바닥 바깥쪽에는 당시 1개 특별시와 3개 직할시, 이북5도을 포함한 9개 도(道) 이름석을 깔았고 그 안쪽에는 전국 231개 시, 군, 구의 이름을 새겼다. 이때 사용한 돌은 그 지역에서 가져온 향토석을 사용했다. 이렇게 바닥을 조성한 다음 그 가운데에 15m의 탑신을 세웠다. 탑신은 '근면·자조·협동·자립'이란 새마을운동의 4대 정신을 표상하도록 4각 형태로 만들었다.
새마을지도자탑을 에워싼 바닥돌 모습. 서울시와 각 구청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최용수
새마을지도자탑을 에워싼 바닥돌 모습. 서울시와 각 구청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최용수
새마을지도자탑 주변 바닥은 전국 시군구에서 가져온 향토석으로 조성하여 돌의 문양이 다양하다. ©최용수
새마을지도자탑 주변 바닥은 전국 시군구에서 가져온 향토석으로 조성하여 돌의 문양이 다양하다. ©최용수

“새마을지도자탑을 보면 어릴 때 시골마을에서 새마을운동에 참여했던 기억이 되살아나요.” 아침 산책을 나온 발산동 주민 K씨(74세)씨는 이곳에 올 때마다 바닥에 놓인 고향의 돌을 찾아본다고 했다. 전후 폐허에서 지금의 풍요로운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지난 시간을 증언하듯 오늘도 새마을지도자탑은 묵묵히 서있다.
우장산 새마을지도자탑 주변에는 다양한 운동시설과 산책로가 조성되어 인기가 높다. ©최용수
우장산 새마을지도자탑 주변에는 다양한 운동시설과 산책로가 조성되어 인기가 높다. ©최용수

시민들의 기억 속에서 차츰 멀어져가는 새마을운동 이야기, 더 이상 잊어지지 않도록 '새마을 지도자탑'만이라도 잘 관리되었으면 싶다. 아울러 새마을운동에 대한 충분한 안내문과 새마을운동 노래까지 들을 수 있다면 훗날 또 하나의 귀중한 서울시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하지 않을까.
새마을지도자탑으로 향하는 우장산근린공원 산책로에 설치된 유명 작가의 시(詩)석 ©최용수
새마을지도자탑으로 향하는 우장산근린공원 산책로에 설치된 유명 작가의 시(詩)석 ©최용수
우장산 새마을지도자탑에 이르는 산책로에서 아침운동을 하는 시민들 모습 ©최용수
우장산 새마을지도자탑에 이르는 산책로에서 아침운동을 하는 시민들 모습 ©최용수

우장산

○ 위치 : 서울시 강서구 화곡동
○ 문의 : 02-2600-4185

시민기자 최용수

두 발로 쓰는 서울 이야기 ~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