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구 어린이 제품서 56배 발암물질…유해제품 매주 공개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24.04.09. 16:01

수정일 2024.04.09. 17:49

조회 4,762

서울시가 8일 해외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매 제품 31개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시가 8일 해외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매 제품 31개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외 직구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의 최대 56배에 달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가 지난 3월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생활 밀접 제품 31개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8개 어린이 제품 등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이번 안전성 조사대상은 알리에서 판매율 상위에 랭크된 어린이 제품 19개(8품목)와 가정용 섬유제품 등 생활용품 12개(3품목) 등 총 31개다. 조사는 국가기술표준원 안전 인증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KATRI 시험연구원 ▴FITI시험연구원에서 진행했다.

해외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매 제품 31개 안전성 검사 결과 8개 제품 부적합 판정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①어린이용 물놀이튜브 ②보행기 ③목재 자석낚시 장난감 ④치발기(사탕모양) ⑤치발기(바나나모양) ⑥캐릭터연필 ⑦지우개연필 ⑧어린이용 가죽가방 등 총 8개로, 모두 어린이 용품이다.

이 중 어린이용 가죽가방에서는 플라스틱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4종(DEHP, DBP, DINP, DIBP)이 검출됐고, 이 총합이 기준치의 55.6배에 이르렀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 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으며, 그 중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어린이용 물놀이 제품(튜브)에서도 기준치의 33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제품 두께도 국내 기준(0.25mm)보다 얇아(0.19mm) 위험도가 높았다. 연필 2개(DEHP 33배~35배)와 목재 자석낚시 장난감(DBP 2.2배)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유아의 기도를 가정한 금속 시험판 시험 모습, 제품이 금속판 구멍을 통과해서는 안 됨. 시험판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국내 KC인증제품(왼쪽 사진)과 달리 해외직구 제품은 몸체의 일부가 시험판 구멍을 통과했다(오른쪽 사진).
유아의 기도를 가정한 금속 시험판 시험 모습, 제품이 금속판 구멍을 통과해서는 안 됨. 시험판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국내 KC인증제품(왼쪽 사진)과 달리 해외직구 제품은 몸체의 일부가 시험판 구멍을 통과했다(오른쪽 사진).

유아의 입이나 피부 등에 직접 닿는 완구도 내구성 등 물리적 결함이 많았다. 치아가 나기 시작하는 유아가 입에 물고 사용하는 치발기(2종)에 대한 검사 결과,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높았고, 작은 힘에도 쉽게 손상돼 질식 위험도 있었다. 보행기는 제품의 틈에 베임이나 낌 등의 가능성과 낙상의 위험이 있었다.
외력을 가해 당겼을 때 기준치 이하에서 작은 부품이 발생해서는 안 됨. 유아의 사용을 가정한 인장(잡아당김) 시험에서 해외직구 제품은 작은 부품이 발생했다.
외력을 가해 당겼을 때 기준치 이하에서 작은 부품이 발생해서는 안 됨. 유아의 사용을 가정한 인장(잡아당김) 시험에서 해외직구 제품은 작은 부품이 발생했다.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 마련,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 8일부터 운영

이에 시는 이번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해외직구 상품으로부터 시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서울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내놓았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한 유해성 집중 조사와 소비자 피해구제 등 보호 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액은 6조 8,000억원으로 2022년 대비 28.3%나 증가했다. 기존에는 미국 직구가 대세였는데 올해는 49%가 중국 플랫폼으로 집계됐다.

특히 급성장 중인 중국의 ‘알리 익스프레스’의 경우 올해 2월 기준 온라인 플랫폼 월간활성이용자 수가 818만명으로 쿠팡에 이어 국내 2위로 올라섰다. 후발주자 테무 역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시는 우선 일명 ‘알테쉬’(알리, 테무, 쉬인)로 불리는 중국의 대표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상시 안전성 검사 체계를 가동한다. 4월 넷째주부터 매주 검사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해 피해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검사는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가 많거나, 피해접수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국가기술표준원 인증기관에서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한다.

또한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를 설치‧운영한다. 피해 상황에 대한 상담과 구제 방안을 전담 요원이 빠르게 안내하고 필요시에는 한국소비자원 등 중앙부처와 공조 체계를 구축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울러 해외 유력 온라인 플랫폼과의 핫라인도 지속적으로 구축해 빠른 구제를 돕는다.

피해 발생 시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2133-4896) 또는 120다산콜로 전화 상담하거나 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으로 문의하면 된다.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저렴하다는 이유로 쉽게 소비하는 해외직구 제품은 국내 안전성 기준을 적용받지 않아 언제든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관련 소비자 피해 전담 신고센터 운영과 상시적·체계적 안정성 검사 체계를 구축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 02-2133-4896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