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방대한 역사를 담은 '서울역사박물관'
발행일 2021.01.27. 11:30
서울역사박물관 본관과 분관의 재개관으로 시민들의 반가운 발걸음이 이어졌다.
직원의 안내에 따라 손 소독과 발열 체크, QR 체크인 후 박물관 로비에 들어서면 <그리피스 컬렉션 속 서울풍경> 전시를 가장 먼저 접하게 된다. 서양인들은 외교관, 선교사, 군인 등 다양한 신분으로 조선에 머물면서 기록물들을 남겼는데 윌리엄 엘리어트 그리피스(William E. Griffis, 1843~1928)는 이와 같은 한국 관련 기록들을 집대성하여 한국사를 저술한 최초의 미국인이라고 한다. 그리피스 컬렉션 중, 1883~1886년 동안 주한 미국대리공사로 지낸 조지 클레이튼 포크가 찍은 사진들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생경한 서울의 모습을 담고 있다. 남산 정상에서 찍은 서울이나 한양도성, 경희궁, 경복궁 등 개화기 전후의 서울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귀한 사진이다.
1층의 기획전시실 A와 B에서 각각 <한양을 지켜라 - 삼군영 소속 한 군인 집안의 고군분투>, 2020년 기증유물특별전 <서울학교 100년(1880~1980)>이 진행 중이다. <한양을 지켜라 - 삼군영 소속 한 군인 집안의 고군분투기>는 경상도 영산(현재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일대)의 양반이었던 이지건과 그의 가족을 통해 삼군영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임진왜란이 한참 진행 중일 때 창설된 ‘훈련도감’ 이후 ‘어영청’과 ‘금위영’까지 한양을 수비하는 삼군영 체제가 완성되었는데 7대에 걸쳐 삼군영을 지낸 이지건 일가의 이야기를 통해 흥미진진하게 풀어내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에는 철거 광화문 주요 부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부재, 전차 381호(등록문화재 제467호), 오층석탑, 흥선대원군 조부·아들·손자 신도비 등이 놓여있다. 전시를 보고 난 후, 천천히 박물관 주변을 산책하거나 분관(경희궁, 백인제가옥, 청계천박물관, 한양도성박물관, 동대문역사관·동대문운동장기념관, 돈의문역사관,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서울생활사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찾아보는 것도 추천한다. 위의 박물관들은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https://yeyak.seoul.go.kr/)을 통해 간편하게 사전예약할 수 있으며, 일부 전시는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의 ‘VR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서도 관람할 수 있다.
직원의 안내에 따라 손 소독과 발열 체크, QR 체크인 후 박물관 로비에 들어서면 <그리피스 컬렉션 속 서울풍경> 전시를 가장 먼저 접하게 된다. 서양인들은 외교관, 선교사, 군인 등 다양한 신분으로 조선에 머물면서 기록물들을 남겼는데 윌리엄 엘리어트 그리피스(William E. Griffis, 1843~1928)는 이와 같은 한국 관련 기록들을 집대성하여 한국사를 저술한 최초의 미국인이라고 한다. 그리피스 컬렉션 중, 1883~1886년 동안 주한 미국대리공사로 지낸 조지 클레이튼 포크가 찍은 사진들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생경한 서울의 모습을 담고 있다. 남산 정상에서 찍은 서울이나 한양도성, 경희궁, 경복궁 등 개화기 전후의 서울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귀한 사진이다.
1층의 기획전시실 A와 B에서 각각 <한양을 지켜라 - 삼군영 소속 한 군인 집안의 고군분투>, 2020년 기증유물특별전 <서울학교 100년(1880~1980)>이 진행 중이다. <한양을 지켜라 - 삼군영 소속 한 군인 집안의 고군분투기>는 경상도 영산(현재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일대)의 양반이었던 이지건과 그의 가족을 통해 삼군영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임진왜란이 한참 진행 중일 때 창설된 ‘훈련도감’ 이후 ‘어영청’과 ‘금위영’까지 한양을 수비하는 삼군영 체제가 완성되었는데 7대에 걸쳐 삼군영을 지낸 이지건 일가의 이야기를 통해 흥미진진하게 풀어내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에는 철거 광화문 주요 부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부재, 전차 381호(등록문화재 제467호), 오층석탑, 흥선대원군 조부·아들·손자 신도비 등이 놓여있다. 전시를 보고 난 후, 천천히 박물관 주변을 산책하거나 분관(경희궁, 백인제가옥, 청계천박물관, 한양도성박물관, 동대문역사관·동대문운동장기념관, 돈의문역사관,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서울생활사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찾아보는 것도 추천한다. 위의 박물관들은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https://yeyak.seoul.go.kr/)을 통해 간편하게 사전예약할 수 있으며, 일부 전시는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의 ‘VR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서도 관람할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내부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b0fa24d8d50949cebf6116160f68eaee.jpg)
서울역사박물관 내부 ⓒ김아름
![서울역사박물관 건물 전경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56f65fc4838341d3a7ba0525f77f97be.jpg)
서울역사박물관 건물 전경 ⓒ김아름
![<그리피스 컬렉션 속 서울풍경> 전시, 1884~1885년 촬영된 남산 정상에서 찍은 서울 전경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7313db9588a34c59a7af9bc7ccb3757e.jpg)
<그리피스 컬렉션 속 서울풍경> 전시, 1884~1885년 촬영된 남산 정상에서 찍은 서울 전경 ⓒ김아름
![<그리피스 컬렉션 속 서울풍경> 전시, 1884~1885년 촬영된 경복궁과 육조거리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25ae915c82f440cf9f331a1259d5d677.jpg)
<그리피스 컬렉션 속 서울풍경> 전시, 1884~1885년 촬영된 경복궁과 육조거리 ⓒ김아름
![조선시대 서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상설 전시관 1존의 모습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72f07b9f0f8944e6ba3058958073a32a.jpg)
조선시대 서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상설 전시관 1존의 모습 ⓒ김아름
![조선시대 서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상설 전시관 1존의 모습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a24098d8f7c2405fbd6b25d2d2bd9c38.jpg)
조선시대 서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상설 전시관 1존의 모습 ⓒ김아름
![경조오부도·도성도 <동여도>, 김정호가 그린 한양과 성저십리(도성 밖 한양) 지도이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41555fe4fca648d291a303f7b10c383d.jpg)
경조오부도·도성도 <동여도>, 김정호가 그린 한양과 성저십리(도성 밖 한양) 지도이다. ⓒ김아름
![육조거리 모형. 육조거리는 광화문 앞의 대로를 말하며 한성부, 호조, 예조, 병조, 이조, 의정부 등 국가의 중추적인 관청들이 늘어서 있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9dc3f16e27b5482997d5251e5d79faa6.jpg)
육조거리 모형. 육조거리는 광화문 앞의 대로를 말하며 한성부, 호조, 예조, 병조, 이조, 의정부 등 국가의 중추적인 관청들이 늘어서 있었다. ⓒ김아름
![한양도성 안 마을 서촌, 북촌, 운종가, 동촌, 중촌, 남촌과 한양도성 밖 성저십리의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fcfefe672b9b4cdebebc3cc42fe9d451.jpg)
한양도성 안 마을 서촌, 북촌, 운종가, 동촌, 중촌, 남촌과 한양도성 밖 성저십리의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김아름
![조선 제일의 번화가였던 운종가의 상인과 장인의 물품을 소개하고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e7e9cc88349a4b13b39c768817d174bc.jpg)
조선 제일의 번화가였던 운종가의 상인과 장인의 물품을 소개하고 있다. ⓒ김아름
![한양의 시전에서 판매하던 물품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e9e628aa8c6b49f1b60deb9a3d591cd8.jpg)
한양의 시전에서 판매하던 물품들 ⓒ김아름
![조선 제일의 번화가였던 운종가 모형. 운종가는 흥인지문과 돈의문을 가로지르는 동서대로에 있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29ee561b5dd64b409a8bc51e34834b1f.jpg)
조선 제일의 번화가였던 운종가 모형. 운종가는 흥인지문과 돈의문을 가로지르는 동서대로에 있었다. ⓒ김아름
![18세기 김홍도가 그린 풍속도병 (선비가 세속을 유람하며 마주치는 장면들을 소재로 한 병풍 그림)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b2c5f1cf715d4ea2bf3e88ec90940eea.jpg)
18세기 김홍도가 그린 풍속도병 (선비가 세속을 유람하며 마주치는 장면들을 소재로 한 병풍 그림) ⓒ김아름
![기성도병 (평양부성 일대 풍경과 평안감사의 선상 행렬을 담은 그림),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76호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9235e5b258d340f496bd4da9853b42b9.jpg)
기성도병 (평양부성 일대 풍경과 평안감사의 선상 행렬을 담은 그림),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76호 ⓒ김아름
![스탬프북에 한양도, 한성부 관인, 대동여지도 경조오부도, 서울 지하철 착공 기념패, 전차 381호의 도장을 찍어볼 수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51321d8a830c46edb1705215b6addaa9.jpg)
스탬프북에 한양도, 한성부 관인, 대동여지도 경조오부도, 서울 지하철 착공 기념패, 전차 381호의 도장을 찍어볼 수 있다. ⓒ김아름
![이곳은 ‘서울역사박물관’을 소개하고 있다. 1985년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역사를 담을 박물관 건립 계획이 수립되었고, 1993년 현 건물이 완공되었으며, 2002년 봄에 개관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9207cd8a3a764cb384f87f9d6e8e08e4.jpg)
이곳은 ‘서울역사박물관’을 소개하고 있다. 1985년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역사를 담을 박물관 건립 계획이 수립되었고, 1993년 현 건물이 완공되었으며, 2002년 봄에 개관했다. ⓒ김아름
![상설 전시관 2존은 개항, 대한제국기 서울을 담고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9230b4742ae541c3aaddf53558668e6d.jpg)
상설 전시관 2존은 개항, 대한제국기 서울을 담고 있다. ⓒ김아름
![대한제국 훈장과 기념장, 숟가락, 우편엽서 등에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태극문, 무궁화, 이화문 장식들이 그려져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cafd7c808a7242a4814e4793ad96ba39.jpg)
대한제국 훈장과 기념장, 숟가락, 우편엽서 등에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태극문, 무궁화, 이화문 장식들이 그려져 있다. ⓒ김아름
![1901년 체코인 브라즈 촬영한 서울의 사진. 색안경(선글라스)을 쓰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5d86ed2661b049aca5a5afa571d99d3f.jpg)
1901년 체코인 브라즈 촬영한 서울의 사진. 색안경(선글라스)을 쓰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김아름
![1901년 체코인 엔리코 스탄코 브라즈가 촬영한 서울의 사진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d8e0d9558bf341008cd60c9ced2923b4.jpg)
1901년 체코인 엔리코 스탄코 브라즈가 촬영한 서울의 사진들 ⓒ김아름
![1920~30년대 경성의 모습을 담고 있는 전시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17b3f0deeedd47c18037d5d1999bb664.jpg)
1920~30년대 경성의 모습을 담고 있는 전시 ⓒ김아름
![상설 전시관 4존은 해방과 6.25 한국전쟁 이후, 고도성장기의 서울을 담고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c58ac38aae28402d963a3e33e71b9165.jpg)
상설 전시관 4존은 해방과 6.25 한국전쟁 이후, 고도성장기의 서울을 담고 있다. ⓒ김아름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국제적 도시로 성장한 서울. 공식 포스터와 캐릭터 호돌이는 지금 봐도 아름답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b3bb0727bfef441e840f9fb57c999ae4.jpg)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국제적 도시로 성장한 서울. 공식 포스터와 캐릭터 호돌이는 지금 봐도 아름답다. ⓒ김아름
![서초삼호아파트 9동 000호 거실의 모습. 70년대 들어 아파트 보급이 확산되면서 1978년 입주가 시작된 이 아파트는 전형적인 1970년대 강남의 아파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5c6ea04b878b4e2f90a840b4db4fbfda.jpg)
서초삼호아파트 9동 000호 거실의 모습. 70년대 들어 아파트 보급이 확산되면서 1978년 입주가 시작된 이 아파트는 전형적인 1970년대 강남의 아파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김아름
![서초삼호아파트 9동 000호 아들방의 모습.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a50483464b494ec08334aa7a8ad22b23.jpg)
서초삼호아파트 9동 000호 아들방의 모습. ⓒ김아름
![서울의 산, 한강, 도시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986944fbf10b421491ab009dcd5c5e6f.jpg)
서울의 산, 한강, 도시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김아름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에 있는 전차 381호(등록문화재 제467호) ⓒ김아름](/uploads/mediahub/2021/01/6aa70ef57c6f43fd9d6541690dc299e3.jpg)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에 있는 전차 381호(등록문화재 제467호) ⓒ김아름
■ 서울역사박물관
○ 위치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 운영시간 : 09:00 ~ 20: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 입장료 : 무료
○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바로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