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지역 '서울시 생활권계획'...균형성장 도모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7.05.15. 16:13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이 발표됐다. 이는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이끌어나가기 위한 것으로,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 후속계획이다. 2030 서울플랜이 권역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광역적 계획이라면 생활권계획은 소지역 단위의 생활밀착형 계획까지 담아낸 정교한 도시관리 계획이다.
먼저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지구중심을 추가, 서울의 중심지 체계를 최종 완성했다. 특히 53지구중심 가운데 약 81%를 상대적으로 저개발‧소외된 동북‧서북·서남권에 집중 지정해 서울 구석구석으로 활력이 퍼지고 균형성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2030년까지 낙후‧소외지역 중심 상업지역 192만㎡ 확대지정
2030년까지 서울광장 145개 규모(192만㎡)의 상업지역을 확대 지정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권(59만㎡), 서남권(40만㎡), 서북권(18만㎡) 위주로 지정,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상업지역 지정은 향후 자치구에서 세부개발계획을 수립해 시에 요청하면 시가 중심지계획·공공기여의 적정성 등을 검토 후 배분물량을 고려해 결정한다.
또 이용이 저조한 상업지역의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상업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일부 완화(30% 이상→20% 이상)하고 주거용적률을 400%까지 일괄 허용하는 내용으로 연내 조례를 개정할 예정이다.
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5개 대(大)생활권(권역)과 116개 지역단위 소(小)생활권(지역)으로 세분, 지역단위로 주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시민의 생활과 지역과제 해결 방안을 담아내 수립한다.
권역 생활권계획은 여러 자치구에 걸쳐있는 이슈와 과제해결을 위한 권역 종합 가이드라인이다. 서울을 5개 대생활권(도심·동북·서북·서남·동남권)으로 구분하고 균형발전을 위해 권역별 7개분야의 종합 계획을 수립했다. 7개 분야는 도시공간과 주거, 교통, 산업·일자리, 역사·문화·관광, 환경·안전, 복지·교육이다.
지역 생활권계획은 3~5개 동을 합친 지역단위다. 서울 전역을 116개로 나눠 지역 고유특성과 주민들의 구체적 요구를 섬세하게 담아낸 '지역 맞춤형 도시계획'으로 수립한다.
시는 이와 같은 내용으로 수립한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에 대해 오는 18일 전문가‧시민 공청회를 개최한다. 또 25개 자치구별 설명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시의회 의견청취(6월),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7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8월)를 거쳐 오는 10월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문의 : 생활권계획추진반 02-2133-8244, 도시계획과 02-2133-8329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