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는 힘이 세다! 하루 한 장씩 그렸을 때 생기는 변화

지정우 건축가

발행일 2024.07.12. 16:07

수정일 2024.07.12. 17:56

조회 2,713

아빠건축가의 다음세대 공간 탐험
필자의 아이가 어릴 때 건축가인 아빠의 스케치를 보고 따라 그리곤 했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생각으로 변형시켰다.
필자의 아이가 어릴 때 건축가인 아빠의 스케치를 보고 따라 그리곤 했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생각으로 변형시켰다.

아빠건축가의 다음세대 공간 탐험 (28) 공간에 대한 태도를 성장시키는 스케치

건축가들은 스케치를 많이 한다. 아이디어를 구상하는데 시각화하기 위해서나, 발전과정에 서로 소통하는 수단으로도 많이 하는데 실제 건축 프로젝트와 상관없이도 지속적으로 그리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별도로 스케치하는 방법을 배운 경우는 많지 않다. 물론 투시도나 도면 같은 드로잉의 작도하는 법은 배우지만 스케치는 대부분 그냥 해보는 것이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만의 관점과 방법으로 자리를 잡게 되는 경우를 경험하고, 종종 그런 경우를 목격하게 된다. 마치 어린 아이들이 어릴 때 이것저것 보이는 것을 인식하는 대로, 자기 머릿속에서만 떠오른 대로 그려보는 그림들과도 비슷하다. 건축가의 스케치도 천편일률적이거나 사실적인 것보다는 그렇게 ‘개인화’된 것을 더 가치 있게 본다.
일기가 아이의 성장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스케치를 매일 정해놓고 하다 보면 스스로의 태도가 성장한다. 

자신만의 지도, 스케치

흔히 광고나 미디어에서는 유럽의 성당 같은 건축 앞에서 그것을 보며 스케치를 하는 모습의 건축가를 보여주곤 한다. 실제로 많은 건축과 학생들이 그러곤 하며 르 꼬르뷔제나 루이스 칸 같은 역사 속 알려진 건축가들도 그랬다. 그 건축의 모습을 그대로 그려보며 이해를 하려는 방식이 있고, 자신이 느끼는 대로 재해석해서 스케치를 하는 방식도 있다. 손마다 핸드폰 렌즈가 들려있는 시대에 자신의 재해석이 담긴 스케치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지도(Personal geography)처럼 이야기를 전해준다.
필자와 아이가 같은 대상을 보고 그린 스케치. 아빠는 사실을, 아이는 상상력을 더해 그렸다.
필자와 아이가 같은 대상을 보고 그린 스케치. 아빠는 사실을, 아이는 상상력을 더해 그렸다.

상상의 툴, 스케치

있는 대상을 그리는 것만큼 스케치의 중요한 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공간을 그려내는 것이다. 큰 도시 규모에서부터 작은 가구까지, 상상 속에 있는 것을 시각화하는 것이 스케치의 중요한 사명 중 하나다.
도시 블록을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 여러 대안을 그려본 스케치
도시 블록을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 여러 대안을 그려본 스케치

많은 분들이 ‘스케치는 상상한 것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건축을 배우는 학생들도 그렇다. 그러나 실은 그 반대에 가깝다. 나는 ‘스케치를 해보기에 상상할 수 있다’라고 말하는 편이 더 옳다고 믿는다. 즉, 그려보기 전에는 상상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케치는 한 번에 끝나지 않는다. 같은 대상도 여러 번 그려보며 상상하고 그것이 발전된 의도로 이어지는 상보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필자가 한 주택을 설계하며 외부 전체 모습과 그것의 디테일을 동시에 그려나갔다.
필자가 한 주택을 설계하며 외부 전체 모습과 그것의 디테일을 동시에 그려나갔다.
한 청년 공유공간을 설계하며 필자가 그린 단면 스케치
한 청년 공유공간을 설계하며 필자가 그린 단면 스케치

여러 각도를 보는 눈, 스케치

어린이에게 스케치를 해보라고 하면 이게 위에서 본 것인지, 옆에서 본 것인지 마구 합쳐져 있는 경우가 많다. 기성화된 그림 방법을 배우지 않은 더 어린 아이일수록 더 그렇다. 그런데 놀랍게도 건축가들 중에서도 의도적으로 평면(위에서 본)과 입면(옆에서 본)과 단면(잘라서 본)의 스케치들을 함께 표현하기도 한다. 얼핏 무슨 그림인지 헷갈리게 보일 수 있지만 찬찬히 보면 그 연관 관계가 더 잘 드러나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사람은 평면이 아닌 입체로 사고하기에 평면, 입면, 단면, 투시도를 동시에 그릴 수 있고 섞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필자가 전주에 우주로1216이라는 트윈세대 도서관 공간을 설계하며 위에서 본 조감도, 평면, 단면이 한 장에 담겨있게 그렸다.
필자가 전주에 우주로1216이라는 트윈세대 도서관 공간을 설계하며 위에서 본 조감도, 평면, 단면이 한 장에 담겨있게 그렸다.
건축과 학생들의 설계 작업을 지도하며 필자가 그린 각 학생들 디자인의 단면 스케치(왼쪽)와 수업 중 학생들에게 ‘단면도’에 대해 설명하며 화이트보드에 그린 안내(오른쪽). 스케치는 수업에도 큰 도구가 될 뿐 아니라 기억에 더 오래 남는다.
건축과 학생들의 설계 작업을 지도하며 필자가 그린 각 학생들 디자인의 단면 스케치(왼쪽)와 수업 중 학생들에게 ‘단면도’에 대해 설명하며 화이트보드에 그린 안내(오른쪽). 스케치는 수업에도 큰 도구가 될 뿐 아니라 기억에 더 오래 남는다.

스케치는 스스로 이야기한다

사진도 잘 찍으면 많은 이야기를 전달하지만 스케치는 그린 사람의 생각이 더 많이 담겨 있기에 보는 사람에게 여러 이야기를 해주곤 한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을 그린 사람에게도 새로운 이야기를 계속 던져준다는 것이다. 그래서 볼 때마다 스케치를 그린 스스로도 새로운 이야기를 발견해 낼 수 있고 거기서 새로운 스케치를 그리는 원동력이 생기기도 한다.
필자가 건축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식물세포와 동물세포를 그리면서 부터였다. 식물세포는 도서관 같이 뭔가 꽉 차있다고 느꼈고, 동물세포는 놀이풍경처럼 자유롭게 뛰논다고 느끼며 그렸던 것 같다.
필자가 건축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식물세포와 동물세포를 그리면서 부터였다. 식물세포는 도서관 같이 뭔가 꽉 차있다고 느꼈고, 동물세포는 놀이풍경처럼 자유롭게 뛰논다고 느끼며 그렸던 것 같다.
한 학교의 놀이풍경을 설계하며 필자가 그린 입체적, 평면, 입면의 스케치. 아이들이 그 속에서 반응하고 있다.
한 학교의 놀이풍경을 설계하며 필자가 그린 입체적, 평면, 입면의 스케치. 아이들이 그 속에서 반응하고 있다.

그 이야기에서 ‘사람’은 중요하다. 공간은 그 혼자 시적으로 있을 수도 있지만 사람이 반응하며 점유하고 있을 때 더 활기가 생기고 의미가 있다. 다음세대의 공간은 더욱 그러하기에 그런 공간을 설계할 때 사람을 그리는 것은 당연하다. 내가 그린 선과 그림 속 사람들이 상호 반응하는 것이 발전되며 공간의 이야기를 전하게 된다.
연속된 스케치의 시작에 다양한 활동의 사람을 그리는 것은 의미가 있다. ⓒ지정우
100장의 스케치를 시작하며 첫 오분에 그린 사람들과 가장 간단한 선으로 되어있는 공간의 반응
100장의 스케치를 시작하며 첫 오분에 그린 사람들과 가장 간단한 선으로 되어있는 공간의 반응

사람과의 반응이 만들어내는 공간

건축의 역사에서 그것의 형태를 좌우하는데 많은 요소가 있어왔다. 시대에 따라 자본, 철학, 미학, 종교, 기술, 산업, 기능 등이 형태를 만든다는 분석이나 선언들이 있었다. 건축가 루이스 설리반이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는 유명한 이야기를 한 것에 빗대어, '형태는 재료를 따른다', '형태는 가능성을 따른다'와 같은 새로운 명제로 수정하는 건축가들도 있다. 필자는 다소 길긴 하지만 ‘형태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따른다(Form follows human interaction)’로 바꾸고 싶다.
보육 공간을 설계하며 아이들과 반응하는 공간의 단면을 상상하며 그린 스케치
보육 공간을 설계하며 아이들과 반응하는 공간의 단면을 상상하며 그린 스케치
어린이 놀이풍경에서의 공간과 어린이 상호 작용을 그린 스케치
어린이 놀이풍경에서의 공간과 어린이 상호 작용을 그린 스케치

다음세대 공간의 경우 위에 이야기한 자본, 기술, 산업 등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특히 그동안 간과해온 기본적인 사항인 어린이들과의 상호작용에 기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을 통해 공간의 형태가 발전되려면 물론 어린이들을 잘 관찰하고 이해해야 한다.
벽과 언덕 같은 한가지 형태 요소를 변주해 다양한 놀이가 가능한 놀이풍경을 상상한 스케치
벽과 언덕 같은 한가지 형태 요소를 변주해 다양한 놀이가 가능한 놀이풍경을 상상한 스케치

매일같이 그리는 스케치의 힘

필요할 때마다 그리는 스케치와 매일 일정하게 그리는 스케치는 조금 다르다. 그때그때 프로젝트에, 소통에 필요하여 여기저기에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작은 스케치북을 정해 놓고 거기에 하루에 한 장씩 스케치를 해 나가다 보면 위에 이야기한 스케치의 속성들 때문에 그리는 자신도 조금씩 달라진다. 이는 마치 어릴 때 매일같이 쓰던 일기장과 비슷한 효과를 가진다. 일기장이 단순히 그날그날의 기록이기에 매일 쓰라고 했던 것이 아니라 그 아이의 성장에도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스케치를 매일 정해놓고 하다 보면 스스로의 태도가 성장한다.
스케치에 사람이 중요하다보니 사람들 자체가 공간을 형성할 수 없을까 하여 그리게 된 스케치
스케치에 사람이 중요하다보니 사람들 자체가 공간을 형성할 수 없을까 하여 그리게 된 스케치
큰 나무 아래 간단한 구조물로 어린이들이 나무와 더욱 교감하며 놀 수 있지 않을까 하며 그려본 스케치
큰 나무 아래 간단한 구조물로 어린이들이 나무와 더욱 교감하며 놀 수 있지 않을까 하며 그려본 스케치

6개월이라는 정해진 기간 동안 하루에서 이틀마다 한 장씩 그려 총 100개의 스케치를 채운 건축가들이 그 스케치북을 전시하고 있다. ‘스케치게임’이라는 기획을 한 건축가 김국환의 아이디어와 실행으로 총 81명의 건축 관련 분들이 시작했지만 24명만이 끝까지 완주하여 전시하게 된 이 전시에서 누군가는 건축 재료에 대해서, 누군가는 상상 속 공간에 대해서, 누군가는 디테일에 대해서 꾸준하게 스케치했을 것이고 필자는 다음세대와 공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100개의 스케치를 채웠다. 그 모두는 그렇게 한 걸음 성장했을 것이다.
100개 스케치의 마지막은 같은 세개의 형태를 서로 다른 재료와 방식으로 구성하여 놀이와 반응의 차이를 그려보았다.
100개 스케치의 마지막은 같은 세개의 형태를 서로 다른 재료와 방식으로 구성하여 놀이와 반응의 차이를 그려보았다.
로컬스티치 크리에이터타운 서교에서 2024. 7.15까지 전시하는 스케치게임의 필자 스케치북과 전시 포스터
로컬스티치 크리에이터타운 서교에서 2024. 7.9 – 7.15까지 전시하는 스케치게임의 필자 스케치북과 전시 포스터

건축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100스케치북’이라고 해서, 하루에 한 장씩 스케치를 하게 했다. 총 15-16주인 한 학기가 지나고 나면 100개가 넘는 스케치를 채우게 된다. 처음에는 과제로서 하던 학생들도 학기가 지나면서 스스로 즐기고 있고 변화되고 성장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 대상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해볼 수 있다고 믿는 세상에서 해보는 것을 먼저 하다 보면 관심도 생기고 발전도 생기는 것을 알게 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AI가 그림을 그려주는 시대에도 다음세대에게 스케치가 중요한 이유이다.
코로나 기간 비대면 화상 강의시에 필자를 비추는 카메라 뒷벽을 스케치로 채웠다. 학생들에게 보이지 않는 교육
코로나 기간 비대면 화상 강의시에 필자를 비추는 카메라 뒷벽을 스케치로 채웠다. 학생들에게 보이지 않는 교육
필자의 건축설계 수업을 들은 박현우 학생의 100스케치북 과제 ⓒ박현우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