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광할 때 추천! 무제한 단기 자유이용패스 '기후동행카드 관광권'
시민기자 한우진
발행일 2024.10.08. 16:14
도시권 대중교통에서는 '정기권'이라는 표현도 많이 쓰인다. 이러한 정기권류 승차권의 특징은 기간이나 지역의 제한은 있는데, 사용횟수의 제한이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짧은 시간 내에 많이 타고 내릴수록 이득이 된다. 또 다른 장점은 매번 승차권을 구입하거나 충전을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그만큼 시간이 절약되고 신경 쓸 것이 줄어든다.
그런데 생각해 볼 부분은, 그 도시에 계속 사는 사람들과 잠시 체류하는 단기 관광객들은 이용패턴이 다르다는 점이다. 일반인들은 한 달 단위 정기승차권을 사도 큰 문제가 없지만, 단기 체류자들에게 30일은 너무 긴 시간이다. 이 때문에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전 세계의 대도시에서는 단기체류 관광객들을 위한 정기권(패스)들을 대부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은 그동안 정기권 자체의 불모지였다. 지하철 정기승차권이 있긴 했는데 횟수 제한이 있어서 진정한 정기권이라고 보기 힘들었다. 무엇보다 서울대중교통의 최대 장점이 버스와 지하철간의 무료환승이 가능한 것인데, 지하철 정기권으로는 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도 문제였다.
다만 기본적으로 서울시 안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고, 추가운임을 받는 일부 민자철도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이 좀 불편한 점이다. 그래도 경기도내 기초 지자체들과 개별 협약을 맺으면서 이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현재 김포시, 남양주시, 구리시 등으로 이용범위가 넓어졌으며 군포시, 과천시, 고양시 등으로도 이용범위를 넓히기 위한 협의가 진행 중이다. 결론적으로 수도권의 대중교통은 그동안 정기권 제도를 시행하고 싶어도 시행을 할 기반 자체가 없었는데 기후동행카드가 등장하면서 그 인프라가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시기에 외국인 단기관광객을 위하여 지하철 일일승차권이 잠시 발매된 적이 있다. 말 그대로 지하철을 하루 종일 마음껏 탈 수 있는 승차권이다. 버스와 지하철의 운임이 별개이던 시절이니, 버스는 탈 수 없었다. 이 제도는 약 3년간 운영한 후 폐지되었는데, 부산시가 2007년부터 이와 동일한 지하철 전용 일일승차권 제도를 도입하여 지금까지 운영 중이다. ☞ [관련 기사] 유레카! 기후동행카드 무제한 이용하기 응용편<
하지만 무제한 패스는 구입한 후 딱 한 번만 충전한 후에 더 이상 신경 쓰지 않고 카드를 찍고 다니면 되니 편리하다. 또한 외국인들은 관광을 할 때 서울 시내에만 머무는 경우가 많아 기후동행카드가 주로 서울시 안에서만 동작을 해도 별 문제가 없다.
문제는 기존 기후동행카드의 이용기간인 30일이 너무 길다는 점이다. 단기 관광객이 30일씩이나 머무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시는 지난 7월 1일 기후동행카드 본 사업 실시에 맞추어 기존 30일의 이용기간을 크게 줄인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을 출시했다.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할 것을 예상하고 관광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를 표로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 이용기간 | 가격 (원) | 1일당 가격 (원) | 기본운임(1,400원)기준 횟수 환산 |
1일 기준 횟수 환산 |
---|---|---|---|---|---|
기존 기후동행카드 | 30일 | 62,000 | 2,067 | 44.3회 | 1.5회 |
단기권 (관광권) |
1일 | 5,000 | 5,000 | 3.6회 | 3.6회 | 2일 | 8,000 | 4,000 | 5.7회 | 2.9회 | 3일 | 10,000 | 3,333 | 7.1회 | 2.4회 | 5일 | 15,000 | 3,000 | 10.7회 | 2.1회 | 7일 | 20,000 | 2,857 | 14.3회 | 2.0회 |
소포장 제품이 비싼 것은 당연한 것처럼, 단가로 비교하면 단기권이 비싸다. 그래도 단가가 제일 비싼 1일권조차도 대중교통을 4번만 이용하면 벌써 본전은 뽑게 된다. 서울에 방문하여 대중교통으로 관광지를 둘러보고 싶은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최적의 선택인 셈이다.
아울러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이라고 해서 별도의 카드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똑같은 기후동행카드(3,000원)인데 충전을 할 때 사용 기간을 선택한 후 그 금액만큼 충전을 하면 된다.
지역 | 이름 | 가격 | 기본운임 환산 | 사용범위 | 외국인 전용 여부 |
---|---|---|---|---|---|
일본 도쿄 (24시간권) |
Tokyo Subway Ticket | 800엔 (약 7,300원) |
4.4회 | 지하철 | O |
대만 타이베이 | One-Day Pass | 150 대만달러 (약 6,300원) |
7.5회 | 지하철 | X |
홍콩 | Tourist Day Pass | 75 홍콩달러 (약 13,000원) |
15.3회 | 지하철, 일부 버스 | O |
싱가포르 | Singapore Tourist Pass | 17 싱가포르달러 (약 17,500원) |
15.6회 | 지하철, 버스 | X |
서울 |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 5,000원 | 3.6회 | 지하철, 일부 버스 | X |
또한 지하철만 이용 가능한 도쿄나 타이베이와 달리 서울은 버스까지 이용 가능하다. 다만 모든 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싱가포르와 달리 서울은 시내를 달리는 경기도 버스는 이용할 수 없다. 싱가포르는 도시국가이고 서울은 수도권이라는 광역권의 구성원이라는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1일권과 24시간권은 다르다는 점이다. 1일권은 그날 막차까지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24시간권은 이용시작 시각부터 다음날 같은 시각까지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1일권을 저녁 늦게부터 이용하기 시작한다면 상당한 손해가 될 수 있다. 실제로 타이베이에서는 1일권 외에도 24시간권도 판매하는데, 24시간권은 180대만달러로 좀 더 비싸다.
기후동행카드의 판매처가 서울 안(서울지하철 고객안전실(역무실), 역 인근 편의점) 에만 있기 때문에, 인천공항에서부터 이용을 시작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 동선 설계다. 사용이 끝난 기후동행카드는 추후 관광객이 우리나라를 재방문했을 때 다시 충전해서 쓰면 된다. ☞ [관련 기사]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알쏭달쏭 궁금증, 이것만은 알아두자!
한편 짚고 넘어갈 점은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이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제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과거부터 서울시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단기패스를 마련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했다. 과거에 서울시티패스(2006년 11월 출시), 서울시티패스플러스(2007년 8월 출시)라는 기간제 교통카드가 존재했었고, 현재에도 그 후신인 M패스2011년 12월 출시) 가 남아 있다. M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표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참고] 시티패스카드, 시티패스 플러스카드
☞ [참고] 엠패스 카드
기후동행카드 관광권 (단기권) | 구분 | M패스 |
---|---|---|
5,000원 | 1일권 가격 | 15,000원 |
8,000원 | 2일권 가격 | 23,000원 |
10,000원 | 3일권 가격 | 30,500원 |
15,000원 | 5일권 가격 | 47,500원 |
20,000원 | 7일권 가격 | 64,500원 |
없음 | 횟수제한 | 1일 20회 |
수도권 지하철 중 서울시내 구간만 (신분당선 제외, 구리, 남양주, 김포 이용 가능) 서울버스 (광역버스 제외) | 사용처 |
수도권 지하철 전체 (신분당선 제외) 서울버스 (광역버스 제외) |
3,000원(별도) | 카드가격 | 5,000원 (패스가격에 포함) |
기후동행카드로 재사용 | 사용 후 재활용 | 일반 티머니로 재사용 |
불가 | 카드값 환불 | 가능 (수수료 500원) |
X | 외국인 전용여부 | O |
서울지하철역, 역 인근 편의점 | 구입처 | 티머니서비스센터 (서울역 10번 출구) |
다만 현재는 과도기로서 두 카드가 병존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차츰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으로 일원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횟수의 제한이 없는 기후동행카드의 확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M패스는 이제 서울역 앞에 있는 티머니 본사 서비스센터(티머니타운)에서만 구입이 가능(과거에는 인천공항에서 판매)하는 등 거의 유명무실화 되고 있는 단계다.
낯선 외국에서 복잡한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면서 생소한 외국 돈으로 일일이 승차권까지 구입해야 하는 것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큰 부담이 된다. 이런 부담을 줄여서 서울 관광을 편하게 해주는 기후동행카드 관광권은 서울의 관광 경쟁력을 높여줄 것이다. 이는 기후동행카드를 저렴하게 팔아서 얻는 손실보다 더 많은 것을 얻는 남는 장사다.
서울시가 과거부터 꾸준히 노력해 온 단기여행자용 교통패스가 이번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으로 결실을 맺은 것을 반갑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이 대중교통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외국 관광객들과 동행하며, 편리한 첨단 대중교통체계로 서울시의 매력을 끌어올리는 서울관광 필수품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
기사 작성자 프로필
시민기자 한우진
시민 입장에서 알기 쉽게 교통정보를 제공합니다. 수년간 교통 전문칼럼을 연재 중입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