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같은 존재감 한강, 머물고 싶은 힐링 공간 되려면?

박혜리 도시건축가

발행일 2022.11.25. 13:30

수정일 2022.12.05. 14:39

조회 3,177

박혜리의 별별 도시 이야기

박혜리의 별별 도시 이야기 (11) 서울바다, 우리의 칠링과 힐링의 장소를 위하여

뚝섬 근처에서 약속이 있었는데 애매한 시간이 남아 한강으로 향했다. 탁 트인 ‘오픈스페이스’가 그리웠다. 넓은 한강과 하늘 사이 건물들이 앙증맞다. 그렇게 강가에서 물멍 시간을 보내고 약속장소로 향했다. 한강은 참 서울의 바다와 같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 우리를 포용하기도 하고 쓰담아 주기도 한다.

몇 해 전 외국인이 한국을 찾는 한 TV예능 프로그램에서 네덜란드 친구들이 나오길래 유심히 봤다. 아무래도 오랜 시간 네덜란드에서 살다 온 나에게는 동네 친구들 보는 느낌이 있어 반가웠다. 그들이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공항에서 바로 달려간 곳은 다름 아닌 한강이었다. 그 모습을 보고 난 웃어버렸다. 역시나 네덜란드 사람들이란! 

해수면보다 낮은 땅이 전 국토의 ¼이 넘는 나라이며, 그렇기 때문에 항상 물과 싸워야 하지만, 또 그리하여 물과 항상 가깝게 지내야만 하는 그들. 

풍부한 수공간을 항상 곁에 두고 있는 그들의 도시를 두고 낯선 이방의 땅으로 날아 온 후 바로 뭔지 모를 ‘목마름’으로 서울의 수공간을 찾았을 터. 그들이 얼마나 수공간과 친밀하게 지내왔는지 알 수 있는 장면이었다. 

사실 그렇게 한강은 강력한 존재감을 보이고 있었지만, 존재의 강력함에 맞지 않게 활용도가 떨어졌던 것은 사실이다. 
서울의 바다와 같은 한강. 뚝섬 근처
서울의 바다와 같은 한강. 뚝섬 근처

우리의 한강은 어느 누군가에게 목적지가 되고 있는가? 아쉽게도 한강은 좁게는 700m에서 넓게는 1km 넘는 폭을 지닌, 강보다는 호수와도 같은 너비를 지니고 있으며, 강변고속도로와 88고속도로를 둘레로 아직도 심리적으로 다가가기 어려운 존재이다.

참고로, 유럽의 여느 도심 수변 폭은 커봐야 500여 미터를 벗어나지 않는다. 베를린의 슈프레강은 50~100m, 파리의 센느강은 200m, 로테르담 마스강 및 비엔나의 도나우강은 최대 500m정도이다. 흑해(海)와 마르마라해(海)를 잇는 구간에 위치한 이스탄불 도심 수공간 폭은 1~2km 정도이고(여기는 바다이다), 바다와 바로 연결되는 뉴욕 맨하튼과  브루클린 사이의 이스트강이 1km 정도, 스위스 취리히 호(湖)가 2~3km 정도(여기는 호수이다). 한강은 수심은 깊지 않지만 그 폭이 강의 개념에서 좀 벗어나는 스케일감을 가지고 있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수공간을 중심으로 모이고 쓸모있는 ‘오픈스페이스’로 활용하는 개념이지만, 우리는 아직 수공간이 경계의 대상이나 건너야 하는 장애공간으로 느껴지기 쉬운 것 같다. 요즘은 한강변 자전거도로가 그나마 잘 연결되어 있어 연속되는 공공공간으로 느껴지기는 하나, 여전히 광폭의 하염없이 둘러쳐진 고속도로는 한강으로의 발걸음을 독려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존재감 높지만 다가가기 힘든 한강,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기 필자가 나름대로 뽑은 세계 유명 워터프론트 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5가지 바람직한 습관(Good Habit)을 공유하고자 한다. 

1. 모두에게 열려 있다.

공공재로서의 도심 수변공간은 모든 사람들에게 차별 없이 열려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접근성에 있어서는 도시공간적으로 그리고 자연환경상 문맥적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찾아오는 방문객 모두를 위한 장소가 되어야 한다.

수변공간은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소유되고 점유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만나고 공유할 수 있는 만남의 장소여야 한다.

도시에서 수변 가로의 새로운 접근성을 제공해야 하며,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 및 물류가 편리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이고 연결되는 경로를 통해 사람들을 인도해야 한다.
함부르크 하펜시티의 3차원적 광장. 걸어가다가 마주치는 열린 공간(좌),
암스테르담 NDSM의 에이(IJ)강을 향해 열린 인공 모래사장 공간(우)
함부르크 하펜시티의 3차원적 광장. 걸어가다가 마주치는 열린 공간(좌), 암스테르담 NDSM의 에이(IJ)강을 향해 열린 인공 모래사장 공간(우)

2. 시간의 층이 살아있는 곳에 드라마가 있다. 산업화된 수변에서 역사와 미래를 기념하다.

많은 수변 프로젝트 지역은 종종 도시화 과정에서 산업화를 겪었다. 도심 내 항구나 공장 등이 있던 닫힌 산업 지역을 재개발하거나, 자동차 우선 도시환경을 대표하는 수변 고속화도로를 재구조화하여 수변 프로젝트를 통해 열린 공간으로 재탄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은 과거, 현재, 미래를 큰 변화로 연결하는 드라마틱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단순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이야기가 있으며 독특한 조합으로 훌륭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버려진 산업 유산은 특별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풍요로운 문화로 오히려 새로운 공간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도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구 창고를 개조하여 복합시설로 재탄생한 로테르담 구 항구지역의 페닉스1(Fenix1). 하부엔 상업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상부엔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좌),
함부르크 하펜시티 내 조성된 구 철도 및 플랫폼 공원, 로제공원(Lohsepark). 뎅크말 하노버(Denk.mal Hannoverscher) 역사는 나치기간동안 추방된 유태인 희생자들의 추모장소이다.(우)
구 창고를 개조하여 복합시설로 재탄생한 로테르담 구 항구지역의 페닉스1(Fenix1). 하부엔 상업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상부엔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좌), 함부르크 하펜시티 내 조성된 구 철도 및 플랫폼 공원, 로제공원(Lohsepark). 뎅크말 하노버(Denk.mal Hannoverscher) 역사는 나치기간동안 추방된 유태인 희생자들의 추모장소이다.(우)

3.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이며 역동적인 최적의 실험무대다.

물은 순환하고 흘러야 한다. 수변 및 수중 공간은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 관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자연재해나 국민의 요구 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관리와 방법론이 수반되어야 한다.

수변은 도시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보장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해수면 상승과 함께 오히려 수공간에 부유하는 시설로서의 건축이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여러 실험적인 미래공간에 대한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러 수중 부유시설이 실험되고 있는 로테르담. (플로팅 하우징부터 파빌리온, 공원, 오피스 등)(좌),
덴마크 코펜하겐의 플로팅 학생주거, 어반리거(Urban Rigger) 주거 단지.(우)
여러 수중 부유시설이 실험되고 있는 로테르담. (플로팅 하우징부터 파빌리온, 공원, 오피스 등)(좌), 덴마크 코펜하겐의 플로팅 학생주거, 어반리거(Urban Rigger) 주거 단지.(우)
하나의 랜드스케이프로 녹화된 바닷가 제란드(Zeeland)지역의 제방.(좌),
홍수기에는 강력한 수문으로 닫혀져 안전하게 관리되는 하펜시티의 수변가로변.(우)
하나의 랜드스케이프로 녹화된 바닷가 제란드(Zeeland)지역의 제방.(좌), 홍수기에는 강력한 수문으로 닫혀져 안전하게 관리되는 하펜시티의 수변가로변.(우)

4. 세계적으로 개성적이며 독자적인 장소로 구축한다. 유사한 것은 의미 없다

도심 수변공간은 사람들이 거리낌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디서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독특함과 개방성을 지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장기적으로 장소의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기반이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설되어야 하며 사람들이 목적지로 기억할 수 있도록 특별해야 한다. 정체성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은 다음 세대를 위한 유산이다
오슬로의 오페라 하우스. 수변에 스며드는 공공공간으로 수변과의 맞닿음이 인상적이다.(좌) 암스테르담 에이부르크 신도시에 위치한 다양한 수상주택들이 새로운 풍광을 자아낸다.(우)
오슬로의 오페라 하우스. 수변에 스며드는 공공공간으로 수변과의 맞닿음이 인상적이다.(좌) 암스테르담 에이부르크 신도시에 위치한 다양한 수상주택들이 새로운 풍광을 자아낸다.(우)

5. 미래를 위한 명확한 비전과 유연한 프레임워크로 개발한다.

도심 수변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도시 개발과 함께 진행되기 마련이다. 단일성 프로젝트가 아니라 어느 정도 융통성 있게 단계적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 고정된 청사진 프로젝트는 적응 가능한 변경을 보장하지 않으면 더 많은 다양성을 가져올 수 없다.

전체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표에서 제공되는 명확한 비전 내에서 유연한 프레임워크는 모든 사용자와 이해 관계자가 가져온 다원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에 수변 지역을 건설함으로써 주변 지역의 이후 개발 및 재생 가능성이 반응하고 영향을 받는다. 단계별 구현은 사회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고 점진적인 과정에서 복잡성을 소화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펜시티는 여러 단계의 마스터플랜을 통해 필지별 다양한 개발이 진행중이다.(좌), 로테르담 베인하벤아일랜드는 저층부를 연속적으로 기존과 같은 높이로 지속하면서 필지별 해당된 용적율을 가이드라인 내에서 해소하며 개발을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우)
하펜시티는 여러 단계의 마스터플랜을 통해 필지별 다양한 개발이 진행중이다.(좌) 로테르담 베인하벤아일랜드는 저층부를 연속적으로 기존과 같은 높이로 지속하면서 필지별 해당된 용적율을 가이드라인 내에서 해소하며 개발을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우)

서울의 한강은 속성상 이러한 곳과 다르기도 하고 여러 공통점도 공유하고 있다. 고속도로와 아파트로 가려진 한강이 좀 더 시민들에게 열린 장소로 다가오길 기대한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