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치일, 남산 '국치길' 1.7km 조성 완료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9.08.28. 17:15

수정일 2019.08.29. 08:39

조회 8,314

통감관저 터, ‘거꾸로 세운 동상’ 뒤로 이곳에 통감관저가 있었음을 알리는 표지석이 보인다.

통감관저 터, ‘거꾸로 세운 동상’ 뒤로 이곳에 통감관저가 있었음을 알리는 표지석이 보인다.

# 일제는 서울(한양)의 얼굴 격인 남산에 조선신궁을 설치하고 식민지 침략자인 메이지 일왕과 일본 건국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숭배케 했다. 한국 통치의 중추인 통감부를 세우고, 일본인 집단 거주지를 조성한 곳도 남산이었다. 남산은 나라를 잃고 국토와 주권을 내주어야 했던 치욕스런 장소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중앙정보부가 설치되어 100년 간 시민이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장소이기도 했다.

8월 29일은 109년 전 한일병탄조약이 공포된 국치일이다. 서울시는 우리 민족의 아픔이 서려 있는 남산 예장자락에 약 1.7㎞에 이르는 ‘국치길’ 조성을 완료하고, 8월 29일 독립유공자 후손 등과 함께 국치의 현장을 걷는 ‘국치일에 국치길을 걷다’ 역사탐방을 개최한다.

국치길(한국통감관저 터 ~ 조선신궁터) 코스

국치길(한국통감관저 터 ~ 조선신궁터) 코스

‘국치길’은 한일병탄조약이 체결된 ‘한국통감관저 터’에서 시작해 김익상 의사가 폭탄을 던진 ‘한국통감부 터(왜성대 조선총독부 터)’와 ‘노기신사 터’, 청일전쟁에서 승전한 뒤 일제가 세운 ‘갑오역기념비’, ‘경성신사 터’를 거쳐 ‘조선신궁’으로 이어진다. 길 마지막에는 지난 8월 14일 위안부 기림의 날에 서울시에서 설치한 <서울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도 만날 수 있다.

한국통감관저(좌), 한양공원비석(우)

한국통감관저(좌), 한양공원비석(우)

특히 ‘국치길’ 보도블록 곳곳엔 ‘길’을 형상화하고, 역사를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한글 자음 ‘ㄱ’ 모양의 로고를 설치했다.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며 ‘ㄱ’자 로고를 보는 것 자체로 치욕스러웠던 시대의 감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재구성한 것이다.

또한 국치길의 각 역사 현장에 ‘ㄱ’ 모양의 스탠드형 안내 사인을 설치했다.

역사를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ㄱ’모양의 로고를 설치한 보도블록(좌)과 스탠드형 안내 사인(우)

역사를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ㄱ’모양의 로고를 설치한 보도블록(좌)과 스탠드형 안내 사인(우)

한편 서울시는 ‘국치길’ 역사탐방로 조성을 완료하고 국치일인 8월 29일 오후 3시 독립유공자 후손, 시민들과 국치의 현장을 함께 걷는 역사탐방 ‘국치일에 국치길을 걷다’도 개최한다.

이번 행사의 1부는 역사탐방로 개막식, 2부는 현장답사로 진행되며,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인 이종찬 3.1운동 100주년 서울시기념사업위원장, 이종걸 국회의원과 백범 김구 선생의 증손자 김용만, 조소앙 선생의 손자 조인래씨 등 독립유공자 후손과 시민들이 함께 한다.

이번 국치길 조성을 기획하고, 역사탐방을 직접 안내하게 된 서울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총감독인 서해성 교수는 “서울시와 함께 벌써 5년째 이 길을 오르고 있다. 국치길을 걷는 건 욕스러움을 잊지 않고자 하는 까닭이다”면서 “과거는 그저 잊히는 게 아니라 현재로 함께 할 때만 역사다. 치욕을 잊지 않는 자는 다시 쓰러지지 않는다. 이 길에서 그걸 다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국치길 주요 코스 소개
코스현위치관련내용
한국통감관저터기억의터1906년 통감관저로 설치되었으며 1910년~1939년까지는 조선총독관저로 쓰임. 1910년 8월 22일 이곳에서 강제병합조약이 체결되었으며 1939년 이후에는 시정기념관으로 쓰였음
한국통감부서울애니메이션센터1910년 강제병합 이후 통감부가 폐지되면서 조선총독부가 설치됨. 1926년 경복궁 신청사가 신축됨에 따라 은사기념과학관으로 용도 변경. 1950년 한국전쟁 때 소실
노기신사터남산원노기 마레스케. 일본 메이지시대 러일전쟁의 영웅으로 군신으로 추앙받는 인물을 추모하기 위해 신사건립
갑오역기념터숭의여자대학교청일전쟁(1894~1895)의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일본인들이 1899년 건립. 기념비에서 일본왕 생일행사인 천장절 행사를 자주 함
경성신사터숭의여자대학교일본거류민단이 창건한 신사로 1925년 조선신궁이 완공되기 전까지 식민정권의 국가제사를 대행
한양공원비석회현동1가 산1-16한양공원 조성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으로 전면에는 고종황제가 쓴 한양공원이라는 명칭이 새겨져 있다. 한양공원은 1910년 개장되었다 조선신궁 건설계획에 따라 사라짐
조선신궁터회현동1가 100-177

(구 남산식물원)

일제가 한국에 세운 가장 높은 사격을 가진 신사. 1918년 조성하여 1925년 완공. 식민지 정부의 국가의례를 집전하며 조선인의 신사참배를 강제하는 기능 수행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