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독립정신을 일깨우는 역사 산책로, 북한산 순례길

시민기자 김종성

발행일 2021.10.21. 09:20

수정일 2021.10.21. 13:37

조회 945

청명한 가을날 산행을 즐기기 좋은 북한산 둘레길에는 특별한 코스가 있다. 북한산 둘레길 2구간이자 김창숙·이시영·이준 등 10여 기의 애국선열 묘소가 모여 있는 ‘순례길’이다. 4·19민주묘지, 광복군 합동묘역, 근현대사기념관도 자리하고 있어 발길을 머물게 한다. 총 2.4km 코스로 1시간 남짓이면 충분히 완주할 수 있지만, 고즈넉한 사찰 보광사에 잠시 쉬어가고 역사를 곱씹으며 걷다 보면 서너 시간이 훌쩍 지나게 된다. 
북한산에 잠든 애국선열들의 묘소를 만날 수 있는 순례길
북한산에 잠든 애국선열들의 묘소를 만날 수 있는 순례길 ⓒ강북구

3·1운동부터 대한민국 건국까지의 격동기 근현대사의 주인공인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을 걷기 좋은 숲길에서 만날 수 있다니, 과연 ‘순례길’이라 이름 지을 만했다. 독립운동가들의 약력과 생전의 활동내역이 적힌 안내판 또는 QR코드 안내가 있어 역사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독립을 향해 고난과 역경 속으로 뛰어든 훌륭한 선조들 앞에 부끄러움과 함께 숙연한 마음을 가지게 되는 시간이다. 

북한산 순례길은 애국선열들의 영웅적 활동이나 역사적 사건만을 강조하지 않는다. 선열들이 얼마나 모진 고초를 견뎠는지보다는 역경 속에서 지키려 했던 가치에 주목한다. 그것이 순국하신 선열들이 남긴 진정한 유산이기 때문이다. 선열들의 묘 또한 안내판이 없었다면 무심코 지나칠 만큼 규모가 소박하고 단출하다. 
순례길 들머리에 있는 솔밭근린공원
순례길 들머리에 있는 솔밭근린공원 ⓒ김종성

순례길의 들머리는 솔밭근린공원(강북구 삼양로 561)으로 우이신설선 솔밭공원역에 내리면, 우람하고 울창한 소나무 숲이 여행자를 맞이한다. 도심 속에 이렇게 울울창창한 솔숲 공원이 있다니 나도 모르게 솔밭을 거닐어보게 된다. 가을날 북한산 둘레길에서 가장 많이 눈길을 끄는 존재는 가을비를 생명수 삼아 피어난 야생 버섯이다. 길섶과 나무에 붙어 꽃처럼, 작은 우산처럼 혹은 망태처럼, 날카로운 표창처럼 피어났다. 봄날 들꽃만큼이나 수가 많고 모양이 다양해서 놀랐다. 곳곳에서 만나는 흥미로운 야생버섯 덕택에 산행이 지루할 틈이 없다. 
순례길에서 보이는 국립 4.19민주묘지
순례길에서 보이는 국립 4.19민주묘지 ⓒ김종성

순례길에서 맨 처음 만나게 되는 곳은 국립 4·19민주묘지 전망대다. 4·19혁명은 1960년 우리나라 헌정사장 최초로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불의한 독재 권력에 항거하기 위해 일어났다. 당시 희생된 290명의 묘역이 산자락 아래로 펼쳐져 있어 절로 숙연한 마음이 생긴다. 3.15부정 선거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에 이승만 정권은 무장 경찰을 동원해 학생들을 폭력으로 진압한다. 이에 격분한 시민과 대학생들은 물론 고등학교 학생들까지 궐기해 독재 정권 타도와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4·19혁명을 일으키게 된다. 
둘레길에 보광사라는 고즈넉한 사찰이 있어서 쉬어가기 좋다.
둘레길에 보광사라는 고즈넉한 사찰이 있어서 쉬어가기 좋다. ⓒ김종성

4·19민주묘지 전망대를 지나면 신숙·김도연· 김창숙·양일동·서상일 선생의 묘역이 차례로 이어진다. “일본의 노예가 되어 사느니 차라리 자유민으로 죽으리라”, “국가의 기본은 국민이요. 정치의 대상은 국민의 복리에 있다”, “우리가 믿고 바랄 것은 우리 스스로의 힘뿐이다” 무덤 입구에 서있는 안내판에 새겨진 애국지사들이 남긴 어록도 인상적이다. 
엄마와 아이들이 순례길에 자리한 애국선열 묘소를 둘러보고 있다.
엄마와 아이들이 순례길에 자리한 애국선열 묘소를 둘러보고 있다. ⓒ김종성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성재 이시영 선생의 묘소 앞 안내판은 역사책 읽듯 보게 된다. 일본이 조선을 강제 병합한 해가 저물어가던 1910년 12월30일 새벽, 건영·석영·철영·회영·시영·호영 여섯 형제는 집안의 재산을 전부 처분한 수백억의 거금을 챙겨 가족들과 함께 비밀리에 만주로 망명한 뒤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항일무장투쟁의 요람이던 신흥무관학교도 이시영 형제들이 세우고 운영했다. 이후 형제들은 모두 돌아가시고, 일제의 패망과 함께 고국으로 돌아온 이는 이시영뿐이었다. 독립운동가 월남 이상재 선생은 "우리 민족은 우당 가문에 큰 빚을 졌다"며 이렇게 말했다.

“동서 역사상 나라가 망한 때 나라를 떠난 충신 의사가 수백, 수천에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우당 일가족처럼 6형제 일가족 40여 명이 한마음으로 결의하고 나라를 떠난 것은 전무후무한 것이다. 장하다! 우당의 형제는 참으로 그 형에 그 동생이라 할 만하다. 6형제의 절의는 참으로 백세청풍이 될 것이니 우리 동포의 가장 좋은 모범이 되리라.”
여섯 형제 가족이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시영 선생 묘역
여섯 형제 가족이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시영 선생 묘역 ⓒ김종성

일제강점기 독립을 위해 일본군과 싸우다가 순국한 김찬원·문학준·정상섭 선생 등 애국선열 17위를 모신 ‘광복군 합동 묘역’에도 발길이 머문다. 중국의 태행산지구전투, 산지성능천전투 등에서 임시정부 광복군으로 일본군을 무찌르다 전사했거나 지하공작원으로 활동하다 순국한 선조들이다. 모두 20대의 젊은 나이로 후손이 없어서 이렇게 합동 묘역을 조성했단다. 1967년 광복군 동지회에서 조성했다. 
17명의 독립운동가가 잠들어 있는 광복군 합동묘역
17명의 독립운동가가 잠들어 있는 광복군 합동묘역 ⓒ김종성

순례길의 끝에 있는 근현대사기념관(강북구 4.19로 114)에 들어가면 국권회복을 위해 피흘려 싸운 애국지사 선열들의 발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다. 독립정신과 민주주의의 뜻을 제대로 기억하고 알리기 위해 2016년 설립된 곳이다. 헌법에 담긴 ‘자유’, ‘평등’, ‘민주’의 이념은 선열들이 피땀 흘려 체득하고 축적해 온 소중한 가치이며, ‘독립운동가들이 꿈꾼 나라’가 대한민국의 미래상임을 알리고자 한다는 소개말이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근현대사기념관을 나오면 다양한 맛집과 카페가 이어져 있는 4.19카페거리가 있어 들르기 좋다.     
근현대사기념관 앞 애국선열 동상들이 서 있다.
근현대사기념관 앞 애국선열 동상들이 서 있다. ⓒ김종성
여러 맛집과 카페가 이어진 4·19카페거리도 있다.
여러 맛집과 카페가 이어진 4·19카페거리도 있다. ⓒ김종성

이 외에도 강북구 문화관광해설사의 안내와 설명을 들으며 순례길을 탐방할 수도 있다. 강북구청 문화관광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소식&가이드 메뉴에서 ‘강북구문화관광해설’을 클릭해 해설예약을 신청할 수 있다.

국립 4·19민주묘지

○ 위치: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8길 17
○ 참배시간: 월요일~금요일 09:00~17:00
○ 4·19혁명기념관
 - 운영시간: 하절기 09:30 ~ 17:30 / 동절기 09:30 ~ 16:3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 휴관)
홈페이지

근현대사기념관

○ 위치: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114
○ 운영시간: 09:00~18: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추석 연휴 휴관
홈페이지

시민기자 김종성

나는야 금속말을 타고 다니는 도시의 유목민. 매일이 여행이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