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 일대 중림창고 등 ‘도시재생 핫플’ 8곳 개관
내 손안에 서울
7,804
청파언덕집
서울역 뒤 중림동 언덕 골목길을 올라가다 보면 길 옆으로 길게 이어지는 새로운 건물이 눈에 띕니다. 오래된 판자건물과 창고를 개조해 만든 ‘중림창고’인데요. 앞으로 이곳에서 박지호 아레나 전(前) 편집장이 진행하는 소규모 독서‧커뮤니티 프로그램 '심야책방'과 '심야살롱'이 매달 열립니다. 이는 서울시가 서울역 일대에 조성한 앵커시설 8곳 중 하나인데요. 앵커시설은 주민 공동이용 시설을 확충하는 동시에 문화생활에 소외된 지역에 문화거점 역할을 하도록 구성했습니다. 장르와 테마를 넘나드는 이색 공연, 강의, 런칭쇼 등이 연중 펼쳐질 도시재생 핫플레이스 시설들을 소개합니다.
서울역 일대 서계‧중림‧회현동에 새로운 도시재생 핫 플레이스로 떠오를 앵커시설 8개소가 28일 개관한다.
다양한 분야 크리에이터들이 함께하는 전시‧판매‧문화활동 복합공간인 ‘중림창고’가 대표적이다. 이 밖에도 라이브공연과 전시가 이뤄지는 ‘은행나무집’, 서울역 풍광을 한눈에 조망하는 ‘마을까페’, 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공유부엌‧공유서가가 있는 ‘감나무집’이 들어섰다.
은행나무집
중림창고
앵커시설은 주민 공동이용 시설을 확충하는 동시에 문화생활에 소외된 지역에 문화거점 역할을 하도록 구성했다. 장르와 테마를 넘나드는 이색 공연, 강의, 런칭쇼 등이 연중 펼쳐지며 사람들의 발길이 모이고 지역에 활력에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공간은 ‘재생’의 매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일반주택과 건물을 매입했다. 공공건축가가 참여해 저층 구릉지의 장점과 각 공간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리모델링과 신축을 병행했다.
시는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붐업을 위해 지난 2016년~2018년 주요 입지를 선정하고, 일반주택과 건물을 매입해 공간을 확보했다. 지역별 주민협의체를 통해 주민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고, 전문가‧관계자 워크숍을 수차례 열어 각 앵커시설의 활용용도와 운영방향을 정했다.
건축 단계엔 공공건축가가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