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세운'에서 다시 세우는 우리의 역사

정명섭

발행일 2019.07.01. 15:34

수정일 2019.07.01. 16:46

조회 2,927

2018 서울사진공모전 다시세운상가

2018 서울사진공모전 다시세운상가

정명섭의 서울 재발견 (43) 다시세운광장 유적전시실

세상이 기운이 모인다는 뜻의 세운상가는 종묘 맞은편에 있다. 일제 강점기 후반, 미군 네이팜탄 공습으로 인한 피해가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지역의 민가를 허물고 공터로 만들었다.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들의 판자촌이 들어서게 되었는데 1968년, 판자촌을 허물고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복합 상가를 짓는다. 세계의 기운이 모두 모인다는 뜻의 세운상가라는 이름을 얻은 이곳은 오랫동안 부유층의 거주지와 전자상가로서 명성을 떨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곳은 쇠락의 길을 걷는다. 한 때 철거될 상황까지 갔지만 최근 리모델링을 하면서 다시 세운상가로 재탄생했다.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는 외부 엘리베이터와 다른 상가와 이어지는 공중복도가 만들어진다. 그러면서 세운상가 지하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다. 이곳이 서울의 한복판이자 종묘의 맞은편이었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지하에서는 건물터와 유물들이 나왔는데 대략 조선 전기와 후기, 그리고 근현대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다시세운광장 유적전시실 내부

다시세운광장 유적전시실 내부

현재 다시 세운상가 1층에는 그곳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전시하는 유적전시실이 세워져있다. 아울러 세운홀 일부를 비롯해서 바닥에 두꺼운 유리를 깔고 아래에 발굴유적들을 공개하는 공간도 만들어졌다. 이곳에서 나온 조선 전기 유물들은 범상치 않은 것들이 많다. ‘天’자가 새겨진 전돌과 청동거울과 화로를 비롯한 청동으로 만든 제기들이 쏟아져 나왔다. 분청사기를 비롯한 각종 도자기와 자기들의 파편들도 많이 발굴되었다. 모두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나올 수 없는 유물들이었다.

반면, 일반 가정이라면 있어야 할 온돌의 유적이 나오지 않았다. 조사 결과 이곳이 조선전기 중부 관아가 있던 곳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문이 풀렸다. 특히 ‘天’자가 새겨진 전돌의 모서리에 경진년에 만들었다는 글씨가 있어서 대략 1520년 즈음에 세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아래층에서 나온 조선 전기 유적지에서는 불에 탄 흔적이 발견되었다. 아마 임진왜란 시기 일본군이 불을 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이곳에 다시 관청 건물이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관청이었던 곳이 세월이 흘러 주상 복합상가가 지어지고, 리모델링을 거쳐서 다시 세운상가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런 과정을 지켜보고 이해할 수 있는 흔적을 직접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니까 옥상에 올라가서 서울의 하늘을 보기 전에 이곳에서 서울의 지나온 역사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가 어떤 역사를 딛고 이곳에 서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될 테니까 말이다.

'내 손안에 서울'에서는 매주 월요일(발행일 기준) '서울 재발견'이란 제목으로 정명섭 소설가가 서울 구석구석 숨어 있거나, 스쳐 지나치기 쉬운, 우리가 미처 몰랐던 보물 같은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정명섭은 왕성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역사를 들여다보며 역사소설과 인문서 등을 쓰고 있으며, <일제의 흔적을 걷다>라는 답사 관련 인문서를 출간한 적이 있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