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이 도봉구 방학동에 잠들게 된 사연

정명섭

발행일 2019.03.25. 14:40

수정일 2019.03.25. 17:37

조회 3,265

연산군 묘

연산군 묘

정명섭의 서울 재발견 (30) 연산군 묘

조선을 통치한 27명의 임금들 중에 묘호가 없는 것은 연산군과 광해군 두 명 뿐이다. 묘호는 임금으로 지내다 죽은 이후에 붙기 때문에 반정으로 폐위된 두 사람에게는 묘호가 부여되지 않은 것이다. 종묘에도 신주가 없다. 그나마 재평가의 여지가 있는 광해군과는 달리 연산군은 빼도 박도 못하는 폭군이었다. 그래서 연산군의 묘가 있다는 사실에 놀랐고, 그게 서울에 있다는 사실에 두 번 놀랐다.

사실 무덤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서울이 아니라 양주 해촌이었다. 나중에 서울로 편입되면서 도봉구 방학동에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사실 연산군은 1506년 9월, 중종반정으로 폐위된 지 두 달 만에 유배지인 강화도에서 세상을 떠난다. 그래서 그의 첫 번째 무덤은 강화도에 만들어진다. 그러다 연산군의 부인 신씨가 중종에게 요청해서 지금의 자리로 이장된 것이다.

버스 정류장에서 내려 골목길을 조금 올라가다보면 오른편에 연산군 묘라는 표지판과 관리사무소가 보인다. 계단을 올라가면 야트막한 시루봉의 산자락에 있는 무덤들을 볼 수 있다. 제일 위에 곡장이 둘러진 무덤이 연산군과 부인 신씨의 무덤이고, 중간에 하나 있는 것이 태종의 후궁인 의정궁주 조씨의 무덤이다. 그 아래 있는 두 쌍의 무덤은 연산군의 딸 휘순 공주와 사위 구문경의 것이다. 총 다섯 개의 무덤이 있는데 주변에 산책로가 있어서 무덤 가까이서 둘러볼 수 있다. 딸과 사위는 그렇다 쳐도 태종의 후궁이 중간에 끼어 든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은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 것에 가깝다.

원래 이곳에는 의정궁주 조씨의 무덤만 있었다. 그녀가 후사가 없이 세상을 떠나자 세종대왕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에게 제사를 모시라고 지시했다. 지시를 받은 임영대군은 자신의 소유인 이곳에 무덤을 만든 것이다. 신씨는 임영대군의 외손녀로 자신의 외가 소유인 이곳에 남편의 무덤을 쓴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그 옆에 묻혔고, 딸과 사위까지 묻히게 되면서 원래 있던 의정궁주 조씨를 둘러싼 형태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장을 할 때 임금이 아니라 대군의 예에 따랐기 때문에 왕릉에 비해 간소하다.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재실도 아주 작은 편이다. 임금으로 즉위했다가 대군으로 묻힌 연산군의 묘를 보고 있노라면 권력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섭고 허무한 것인지 깨닫게 된다.

'내 손안에 서울'에서는 매주 월요일(발행일 기준) '서울 재발견'이란 제목으로 정명섭 소설가가 서울 구석구석 숨어 있거나, 스쳐 지나치기 쉬운, 우리가 미처 몰랐던 보물 같은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정명섭은 왕성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역사를 들여다보며 역사소설과 인문서 등을 쓰고 있으며, <일제의 흔적을 걷다>라는 답사 관련 인문서를 출간한 적이 있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