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체감되는 사회적경제...시민 중심으로 혁신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9.03.14. 18:01

수정일 2019.03.14. 18:35

조회 3,106

서울시가 ‘사회적경제가 일상에서 체감되는 도시 만들기’에 집중한다

서울시가 ‘사회적경제가 일상에서 체감되는 도시 만들기’에 집중한다

서울시가 ‘사회적경제가 일상에서 체감되는 도시 만들기’에 집중한다.

서울시가 시민주체+지역기반+일상체감 등을 골자로 하는 ‘서울 사회적경제활성화 2.0 추진계획(2019년~2022년)’을 14일 발표했다. 모든 계획은 ‘시민중심’으로 추진되며, 지역수요와 현장을 반영한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확산해 사회적경제에 대한 시민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도입초기 개별기업에 대한 ‘재정지원’에서 사회적경제 ‘생태계조성’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데 이어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라는 또 한 번의 혁신이다.

구체적으로는 ①시민체감형 지역순환 경제 구축 ②시민 자조기반 형성지원 ③지속가능한 생태계 기반 강화 ④판로개척 및 시민인식제고 ⑤혁신인재 양성 및 국제협력 강화의 5개 과제를 제시했다.

① 시민 체감형 지역순환 경제 구축

첫째, 지역주민이 사회적경제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진입경로를 제시한다.

우선 공동주택단지 내 주민들이 스스로 생활혁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키도록 지원한다. 주민들이 건강관리, 아이·노인돌봄, 가사서비스 등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면 지원기관이 교육·컨설팅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 설립을 돕는 방식이다. 올해 15개 단지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35개 단지로 체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며, 커뮤니티당 3년간 최대 2억 원을 지원한다.

옷수선, 업사이클링, 식사조리, 도배 등 생활에 필요한 기술‧서비스 전문교육기관인 ‘주민기술학교’도 2022년까지 10개 조성한다. 전문적 기술교육은 물론 사회적경제기업 창업교육 및 컨설팅도 제공해 수료 후에는 지역기반 사회적경제기업인 ‘지역관리기업’을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돌봄 SOS 센터’ 사업과 연계해 지역 내 취약계층에 장보기·병원치료 동행, 수리, 식사, 세탁, 청소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동네나눔반장’도 올해 5개 자치구에서 시범실시 후 2022년까지 25개 전체 자치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② 연대와 협력의 시민 자조기반 조성 지원

둘째, 정부·공공지원 한계를 넘어 설 수 있도록 민간중심 자조기반 마련에도 집중한다.

사회적경제기업, 소셜벤처 등의 조직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증보험, 상해·실업 재기보험, 보충 실업급여, 생활자금융자 등의 상품을 운영하는 시민자조금융기관 ‘서울사회적경제공제조합’의 설립을 지원해 나간다.

사회적경제 사업체간 연대를 촉진하기 위한 민간클러스터 조성도 지원한다. 민간 공동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회적경제기업 및 비영리민간단체에게 최대 10년간, 최대 25억 원을 2% 저리로 지원해 자산기반 마련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시민 자조기반 조성은 관주도가 아닌 ‘민관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추진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아울러 원활한 지원을 위해 ‘서울시 사회적경제 민관정책협의회’를 업종·세대·지역·역할별로 확대·개편하고 현장소통을 강화해 체감형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③ 지속가능한 생태계 기반 강화

셋째, 그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했던 생태계 기반 조성은 현장 목소리를 확대 반영했다.

돌봄·주거·일자리 등 사회적문제 해결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소셜벤처’ 등 사회적경제분야 혁신기업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밀착형 지원을 통해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초기사업화~성장기 투자유치~판로확대 등 성장단계별 집중지원기관인 ‘서울소셜벤처허브센터’를 올해 6월 강남구 선릉역 인근에 개관한다. 올해 1개소에서 시작으로 2022년까지 4개소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외에도 서울시내 유휴 공공시설을 활용해 ‘사회적경제 지역거점 공간’을 2022년까지 6개소 조성하고, 지역 내 사회적경제기업 등을 대상으로 지역의 경제‧문화‧인구 등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을 펼친다.

사회적금융 생태계 강화를 위한 사회투자기금은 2022년까지 1,000억 원 추가 출연하고 투자유치로 기업성장을 앞당기는 ‘임팩트투자’도 지난해 145억 원 규모의 1호 결성에 이어 올해도 50억 원 규모의 2호 결성을 추진 중이다.

④ 판로개척 및 시민인식 제고

넷째,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판로와 민간시장 확대를 꼼꼼하게 챙긴다.

공공기관 대상 사회적경제기업 물품과 서비스 ‘공공구매’를 2018년 1,300억 원에서 2022년까지 1,700억 원으로 30% 늘린다.

또한 판로 및 시장 확대를 위해 사회적경제 브랜드마켓 운영과 TV홈쇼핑 방송 등 온오프라인 민간 유통채널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사회적경제 브랜드마켓은 올해 1개소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4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브랜드마켓’은 사회적경제기업과 소셜벤처는 물론 지역협동조합과 문화‧예술분야 청년사업가 등이 참여하는 콘텐츠형 마켓으로, 9~10월경 한강뚝섬지구에서 1호 마켓을 개장할 예정이다.

⑤ 혁신인재 양성 및 국제협력 강화

다섯째, 청년과 신중년 등 다양한 계층의 사회적경제 혁신인재양성을 위한 노력도 펼친다.

신중년 인력 양성을 위해 50플러스재단 및 민간기업 사회공헌활동과 연계해 2022년까지 45세 이상의 퇴직(예정)자 1,0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 취‧창업프로그램:굿잡 5060’을 운영한다.

아울러 청년 핵심리더 양성을 위해 2020년 서울시립대와 몬드라곤 팀아카데미가 공동 운영하는 ‘체인지 메이커 랩(Change Maker Lab)’을 시립대 학과과정에 개설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분야의 국제 연대와 협력 강화를 위해 UN 등 국제기구와 국내외 도시와의 네트워크도 강화한다. 서울시가 주축이 돼 창립한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 회원을 현재 49개에서 2022년까지 2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강병호 서울시 노동민생정책관은 “지난 6년간 서울의 사회적경제는 우리 사회의 혁신을 주도하고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등 우리 사회와 공동체의 문제해결에 큰 역할을 해왔다”라며 “사회적경제 2.0추진계획을 통해 ‘시민과 함께 하는 사회적경제, 시민의 삶을 바꾸는 사회적경제, 협력과 연대로 더불어 잘 사는 도시 서울’을 구현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문의 : 사회적경제담당관 2133-5485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