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생태계조성 3년, 매출·고용 2배↑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6.08.22. 16:30

수정일 2016.08.22. 18:21

조회 1,621

사회적경제 청계장터 모습ⓒ뉴시스

사회적경제 청계장터 모습

서울시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기업이 3년 7개월간 약 4배 증가하는 가운데, 2012년말 이후 3년간 매출과 고용규모는 2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사회적경제기업 생태계 조성을 본격 추진한 2013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기업 규모와 매출, 고용현황 등을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2013년~2015년 사이 발간된 ▲사회적기업 성과분석보고서(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협동조합실태조사(기획재정부) ▲서울광역자활센터․서울지역생협자료 ▲서울시·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자체분석자료 등 다양한 자료가 활용됐다.

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 등 819개(2012년)→3,318개(2016년 7월)

먼저 사회적경제기업수는 올해 7월 기준 총 3,318개로 2012년 말 대비 4배가량 증가했다. 특히 기본법 시행에 따라 협동조합이 2012년 16개에서 2016년 7월 2,541개로 큰 폭으로 늘었다.

사회적경제기업의 매출액 또한 2012년 6,870억 대비 2015년 1조 4,600억 원으로 약 2.1배 증가했고, 고용규모도 9,300명에서 1만 7,400명으로 약 1.8배 늘었다.

정부나 지자체가 투입한 재정 대비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취약계층 일자리와 사회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하는 ‘사회적성과지수’도 12.9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재정투입 대비 12.9배의 사회적가치를 창출했다는 의미다.

이 지수는 서울연구원과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공동으로 추진한 ‘서울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 연구’에서 101개의 사회적기업을 표본으로 도출한 것이다.

2013년부터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집중

서울시는 이러한 사회적경제기업의 확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일시적인 자금 지원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 추진을 꼽았다.

시는 기존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이 단순 자금지원으로 2년의 지원기간이 끝나면 기업 생존율이 떨어지는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년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설치를 시작으로 기업이 성장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집중해왔다.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전략은 ▲제도기반 마련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간 및 조직 인프라 구축 ▲기업성장을 위한 재정·경영 및 판로·마케팅 지원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등 인재양성 ▲글로벌 사회적경제 연대와 협력 선도 등이다.

먼저 서울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기반 마련을 위해 2013년 ‘서울시 협동조합 활성화 지원조례’를 제정했으며 다음해 3월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 5월에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본조례’를 제정했다.

이와 함께 공간 및 조직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13년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설치, 2014년에는 ‘서울시 협동조합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자치구 단위로 5개의 생태계 사업단과 10개의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 자치구 사회적경제 지원체계 구축 체계

사회적경제 생태계사업단
(2012년~)

발전
사회적경제 통합지원센터
(2015년~)

심화
사회적경제 특구
(2015년~)
초기단계
자치구 지원조직
(민간주도)
체계화된
자치구 지원조직
(민관협력)
지역자원 활용,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경제 전략사업 육성 지역

자치구별 사회적경제 공간 및 지원조직 조성 현황(※ 도봉, 강동, 송파구는 자체 센터 운영 중)

자치구별 사회적경제 공간 및 지원조직 조성 현황(※ 도봉, 강동, 송파구는 자체 센터 운영 중)

취약계층 일자리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 등을 수행하는 사회적기업에게 인건비, 사업개발비 등으로 지난 3년간(2013~2015년) 373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아울러,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지원을 위한 진단 및 컨설팅을 지원했다. 컨설팅 결과 81개 기업의 2014~2015년 2년간 경영실적이 평균 매출은 29%(2억 7,100만 원→3억 5,000만 원), 평균 고용은 48%(10.6명→15.7명) 확대됐다.

분야별 맞춤형 교육과 기업의 성장을 위한 전문교육 등 지난 3년간 86개 교육 과정을 운영했으며, 총 4,048명이 이 과정을 수료했다.

글로벌 사회적경제와의 연대·협력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시는 2013년 세계최초 사회적경제포럼을 개최한 이래 2014년에는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www.gsef-net.org/)를 창립해 세계 지방정부와 민간사회적경제 단체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구축했다.

현재 서울을 포함해 몬트리올(캐나다), 로컬리티(영국), 그룹SOS(프랑스) 등 23개 도시 및 단체가 회원도시로 참여하고 있으며 오는 9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제2회 GSEF 총회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1,5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될 예정이다.

그밖에 2012년 전국 자치단체 최초로 사회적가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사회투자기금 500억 원을 조성했고, 기부금과 민간협력으로 178억 원의 민간기금도 조성됐다. 기금은 사회적경제기업, 사회적프로젝트 등에 자금 융자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회성과 즉, 공익을 목적으로 민간이 자본을 투자하고 사업을 진행해 약속한 성과 달성시 정부 예산으로 보상하는 사회성과보상사업 SIB 또한 아시아 최초 추진, 지난 4월 첫 사업을 출범시켰다.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대화

한편 서울시는 오는 25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대화’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성과와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정책 및 제도 과제를 광범위하게 논의하는 자리로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진영 의원, 서울시의원과 사회적경제 부문별 협의체 대표, 관련 전문가, 지원기관 및 사회적경제기업 임직원 및 사회적경제에 관심있는 시민, 학생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서울시 사회적경제포털(sehub.net)에서 등록하면 된다.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그간의 서울의 사회적경제 성과는 다양한 주체와 시민이 함께 발전시켜나간 것”이라며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기반 마련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문의 : 사회적경제담당관 02-2133-5483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